편집
13,127
번
(새 문서: '''로스마린산 (rosmarinic acid, RA)'''{{백내장}} 은 카페산 (caffeic acid) 과 3,4-dihydroxy-phenyllactic acid 의 에스터 (ester) 로 240여 종의 식물에서 발견...)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한편 간질환에서 세포 수준에서 미토콘드리아 내부의 화학적인 손상을 감소시키고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로 간질환을 치료하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ref>Elufioye TO et al. Hepatoprotective effects of rosmarinic acid : Insight into its mechanisms of action. ''Biomed Pharmacother''. 2019 Apr;112:108600. [https://pubmed.ncbi.nlm.nih.gov/30780110/ 연결]</ref>. 하지만 안구 질환의 예방에 관하여는 몇 가지 정도만 알려져 있다. 로스마린산이 사람의 익상편 상피세포에서 산화 환원의 불균형을 조절하여 세포의 자멸사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보고되었다<ref>Chen YY et al. Inhibitory effects of rosmarinic acid on pterygium epithelial cells through redox imbalance and induction of extrinsic and intrinsic apoptosis. ''Exp Eye Res''. 2017 Jul;160:96-105. [https://pubmed.ncbi.nlm.nih.gov/28559202/ 연결]</ref>. 또한 백내장의 진행을 억제하고 예방하는 효과가 실험적으로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정확한 분자학적이고 생화학적인 기전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 한편 간질환에서 세포 수준에서 미토콘드리아 내부의 화학적인 손상을 감소시키고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로 간질환을 치료하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ref>Elufioye TO et al. Hepatoprotective effects of rosmarinic acid : Insight into its mechanisms of action. ''Biomed Pharmacother''. 2019 Apr;112:108600. [https://pubmed.ncbi.nlm.nih.gov/30780110/ 연결]</ref>. 하지만 안구 질환의 예방에 관하여는 몇 가지 정도만 알려져 있다. 로스마린산이 사람의 익상편 상피세포에서 산화 환원의 불균형을 조절하여 세포의 자멸사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보고되었다<ref>Chen YY et al. Inhibitory effects of rosmarinic acid on pterygium epithelial cells through redox imbalance and induction of extrinsic and intrinsic apoptosis. ''Exp Eye Res''. 2017 Jul;160:96-105. [https://pubmed.ncbi.nlm.nih.gov/28559202/ 연결]</ref>. 또한 백내장의 진행을 억제하고 예방하는 효과가 실험적으로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정확한 분자학적이고 생화학적인 기전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 ||
== 백내장 발생 억제 == | |||
백내장의 발생에는 다양한 기전이 작용하는데, 자유 라디칼이 산화 손상을 유발하여 수정체의 구조에 변화를 일으켜 백내장을 유발하게 된다. 활성 산소 물질 (ROS) 을 포획하여 항산화 작용을 통해 백내장 발생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었다. 12,13 글루타싸이온은 비효소성 항산화물질로 ROS와 활성질 소류를 줄임으로써 셀렌산염 유발 산화손상을 수정체에서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데,이는 글루타싸이온을 탈락시켰 을 때 수정체의 손상이 가속화되는 현상을 통해 알 수 있 다. 또한 손상으로 인해 글루타싸이온이 GSSG(glutathione disulfide)로 변형되면서 세포질 내에 축적되게 된다. 이러 한 현상들을 토대로 볼 때 로스마린산은 백내장 형성 시 나타나는 글루타싸이온의 손실을 줄여 주는 역할을 함 으로써 백내장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타. 또한 NFκB 기전을 억제함으로써 tissue plasminogen activator(tPA) 유발성 염증 작용을 줄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 |||
요약하자면,로스마린산은 셀렌산염 유발 백내장에서 항염증, 항산화 효과를 통한 방어 기전으로 백내장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로스마린산을 이용한 안약을 통해 세계적으로 백내장 수술이 어려운 상황에서 백내장으로 인한 실명을 예방하는 데 보존적인 요법으로 경제적이면서 안전한 방법으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