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chodroitin sulfate)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 Sodium Hyaluronate (NaHA) === | === Sodium Hyaluronate (NaHA) === | ||
인간의 신체 중에 전방수, 유리체 속에 다량으로 들어있는 물질로서, 기본 구조는 β-1,4-glucosidic bond가 반복적으로 이어져 하나의 긴 사슬로 구성된 이당류이다. 이 이당류가 생리 식염수에 녹으면 하나의 긴 random coil로 변하는 점액 다당류가 된다. 농도를 증가시키면 (>0.5mg/mL) 각 분자 사슬이 서로 중첩되어 농도가 증가되고, 사슬과 사슬 사이에 비공유 결합 반응이 일어나면서 탄성은 더욱 증가된다. 예를 들어 2mg/mL 의 농도에서는 점도가 100cSt 이지만, 10mg/mL 에서는 점도가 100,000cSt 가 된다. 즉 점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성도 증가한다. 안과 영역에서 상용되는 sodium hyaluronate acid fraction (NIF-NaHa) 은 큰 분자량 (2,000,000~5,000,000 dalton) 을 가지고, 단백질량이 0.5% 이하로 하나의 이당류 당 하나의 음전하를 가지며, 대표적으로 Amvisc plus 와 Healon GV 가 있다. 또한 단백질량이 아주 적기 때문에 비감염성, 비독성, 비알레르기성, 비염증성, 비세균성 상태인 매우 정제된 화합물이다. 유인원 유리체내 반감기는 72시간 정도이며, 방수 내 반감기는 점도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2~7일로 알려져 있다. | 인간의 신체 중에 전방수, 유리체 속에 다량으로 들어있는 물질로서, 기본 구조는 β-1,4-glucosidic bond가 반복적으로 이어져 하나의 긴 사슬로 구성된 이당류이다. 이 이당류가 생리 식염수에 녹으면 하나의 긴 random coil로 변하는 점액 다당류가 된다. 농도를 증가시키면 (>0.5mg/mL) 각 분자 사슬이 서로 중첩되어 농도가 증가되고, 사슬과 사슬 사이에 비공유 결합 반응이 일어나면서 탄성은 더욱 증가된다. 예를 들어 2mg/mL 의 농도에서는 점도가 100cSt 이지만, 10mg/mL 에서는 점도가 100,000cSt 가 된다. 즉 점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성도 증가한다. 안과 영역에서 상용되는 sodium hyaluronate acid fraction (NIF-NaHa) 은 큰 분자량 (2,000,000~5,000,000 dalton) 을 가지고, 단백질량이 0.5% 이하로 하나의 이당류 당 하나의 음전하를 가지며, 대표적으로 Amvisc plus 와 Healon GV 가 있다. 또한 단백질량이 아주 적기 때문에 비감염성, 비독성, 비알레르기성, 비염증성, 비세균성 상태인 매우 정제된 화합물이다. 유인원 유리체내 반감기는 72시간 정도이며, 방수 내 반감기는 점도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2~7일로 알려져 있다. | ||
=== | === 황산 콘드로이틴 === | ||
황산 콘드로이틴 (chondroitin surface, CDS) 은 각막의 주요 구성 성분인 점액다당류 중 하나로, 구조는 히알루론산과 비슷하다, 분자량은 50,000D 정도로 전방 내에서 대사가 되지는 않고 24~30 시간 이내에 배출된다. | |||
===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 | ===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 | ||
식물에 존재하는 셀룰로오스 다형체이며, 가토의 전방내에서 3일 후에 제거되며, 친수성이므로 쉽게 물로 제거될 수 있다. | 식물에 존재하는 셀룰로오스 다형체이며, 가토의 전방내에서 3일 후에 제거되며, 친수성이므로 쉽게 물로 제거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