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탄 물질: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216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0월 9일 (일)
잔글
잔글 (→‎분류)
7번째 줄: 7번째 줄:
== 분류 ==
== 분류 ==
Arshinoff 는 점탄 물질을 다음과 같이 두 종류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Arshinoff 는 점탄 물질을 다음과 같이 두 종류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 응집성 (visco-cohesive) : 분자량과 위양성이 크고 표면 장력이 큰 성질을 가지고 긴 분자 사슬의 형태이므로 응집성이 우수하고, 안구 내에서 공간을 유지하기에는 좋으나 섬유주로 빠져나가기 어렵다. 전방에 주입하기 용이하고, 주입된 후에도 형체가 잘 유지되어 홍채의 크기를 늘리거나 구조물을 유착 분리하기 용이하며, 동시에 분자의 길이가 대부분 길기 때문에 전방 밖으로 쉽게 제거된다. 하지만 눈 속에 일부가 남아 있으면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제거되는데 시간이 걸리고 안압이 올라갈 수 있다.
=== 응집성 (visco-cohesive) ===
* 분산성 (visco-dispersive) : 분자량과 위양성이 낮고 표면 장력이 작은 성질을 가지므로 점성이 낮아 표면에 잘 붙는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내피 세포의 보호에 적합하지만, 위양성이 낮아서 좁은 관으로 주입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전방 내에서 완전히 제거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공 수정체가 삽입된 후에는 더욱 제거하기 힘들다. 하지만 분자량이 비교적 작은 편이므로 안구 내에서 자연 흡수는 비교적 잘 되는 편이다.
분자량과 위양성이 크고 표면 장력이 큰 성질을 가지고 긴 분자 사슬의 형태이므로 응집성이 우수하고, 안구 내에서 공간을 유지하기에는 좋으나 섬유주로 빠져나가기 어렵다. 전방에 주입하기 용이하고, 주입된 후에도 형체가 잘 유지되어 홍채의 크기를 늘리거나 구조물을 유착 분리하기 용이하며, 동시에 분자의 길이가 대부분 길기 때문에 전방 밖으로 쉽게 제거된다. 하지만 눈 속에 일부가 남아 있으면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제거되는데 시간이 걸리고 안압이 올라갈 수 있다.
 
=== 분산성 (visco-dispersive) ===
분자량과 위양성이 낮고 표면 장력이 작은 성질을 가지므로 점성이 낮아 표면에 잘 붙는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내피 세포의 보호에 적합하지만, 위양성이 낮아서 좁은 관으로 주입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전방 내에서 완전히 제거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공 수정체가 삽입된 후에는 더욱 제거하기 힘들다. 하지만 분자량이 비교적 작은 편이므로 안구 내에서 자연 흡수는 비교적 잘 되는 편이다.
=== 자가 적응형 (visco-adaptive) ===
새로운 범주의 점탄물질로 Healon 5™ 등이 있다. 2.3% HA로, 주변의 환경에 따라 점탄 물질의 성질이 바뀌는 특성을 보인다.2,3 점탄 물질 주변의 물 흐름에 따라 흐름이 높으면 점탄 물질의 성분들이 작은 조각으로 분해되어 분산성을 띠고, 흐름이 낮으면 높은 응집성을 띠도록 제작되었다. 따라서 수술 후 빠르고 완전한 제거가 가능하여 술 후 안압 상승의 위험도가 낮은 편으로 저점성의 다른 HA제제와 차이가 없다.4
=== viscousdispersive ===
1.6% HA 와 4% CDS를 섞어서 만든 DisCoVisc™은 상반된 응집성과 분산성을 동시에 가지게 한 것으로, 전방 내 공간을 잘 유지하고 각막 내피에 잘 도포되는 능력 은 Viscoat™와 유사하며,전방 내에서 제거되는 성질은 자가 적응형 OVD보다 더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5 실험실에서 수정체 유화술을 시행하고 남은 점탄 물질의 양을 공초점 현미경으로 즉정해 봤을 때 DisCoVisc™가 전방에 가장 많이 남아 내피 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
<center>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25번째 줄: 30번째 줄:
|}
|}
</center>
</center>
== 재질 ==
== 재질 ==
=== Sodium Hyaluronate (NaHA) ===
=== Sodium Hyaluronate (NaHA)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