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종류) |
|||
44번째 줄: | 44번째 줄: | ||
===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 | ===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 | ||
동물 내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면화나 나무와 같은 식물 섬유의 구성 물질로 존재한다. 화학적으로는 β-glycosidic bond에 의해 결합된 D-glucose molecule로 구성된 섬유소 (cellulose polymer) 이다. 메틸셀룰로스는 고도의 정제된 물질을 사용해야 하는데, 점탄 물질 속에서 여러 나무 섬유나 오염 물질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전방 내에서는 대사되지 않고 약 3일 내에 배출된다. 친수성으로 눈에서 쉽게 세척이 된다. HPMC는 점탄 물질이 아닌 연고 제제로 앞방각경 사용 시 이용되고 있다. | |||
== 부작용 == | == 부작용 == | ||
* 안압 상승 : 수술 후 전방에서 충분히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수술 후 첫 6시간에서 24~72시간 사이에 안압이 상승할 수 있으며, 이 때 발생하는 녹내장을 Healon-block 녹내장이라 한다. 이는 대부분 일시적이고, 남겨 놓은 점탄 물질의 양, 점도, 분자량 등에 영향을 받으며, 섬유주에서 점탄 물질이 잘 배출되지 않아서 발생한다. 이를 방지가히 위해 백내장 수술 후 가능한 한 모든 점탄 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며, [[아세타졸라미드]], 전방 내 축동제, beta blocker, 4% pilocarpine 겔 같은 안압 하강제 등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 * 안압 상승 : 수술 후 전방에서 충분히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수술 후 첫 6시간에서 24~72시간 사이에 안압이 상승할 수 있으며, 이 때 발생하는 녹내장을 Healon-block 녹내장이라 한다. 이는 대부분 일시적이고, 남겨 놓은 점탄 물질의 양, 점도, 분자량 등에 영향을 받으며, 섬유주에서 점탄 물질이 잘 배출되지 않아서 발생한다. 이를 방지가히 위해 백내장 수술 후 가능한 한 모든 점탄 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며, [[아세타졸라미드]], 전방 내 축동제, beta blocker, 4% pilocarpine 겔 같은 안압 하강제 등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