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국소 마취제의 종류)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최초의 아미노아미드 형태의 국소마취제이며 조직 투과성이 높아서 발현 시간이 가장 빠르지만 지속 시간이 짧은 단점이 있다<ref>Oji E et al. Bupivacaine and lignocaine for ophthalmic surgery. ''BJO''. 1987 Jan;71(1):66-8. [https://pubmed.ncbi.nlm.nih.gov/3814573/ 연결]</ref>. 1%, 1.5%, 2%, 4% 농도가 사용된다. 작용 시간이 짧은 것이 단점으로 [[에피네프린]]을 추가하면 작용 시간을 75% 정도 연장할 수 있다. 작용 발현이 빠르고 조직 침투성이 좋아 국소 마취제의 표준이 되는 마취제이다. | 최초의 아미노아미드 형태의 국소마취제이며 조직 투과성이 높아서 발현 시간이 가장 빠르지만 지속 시간이 짧은 단점이 있다<ref>Oji E et al. Bupivacaine and lignocaine for ophthalmic surgery. ''BJO''. 1987 Jan;71(1):66-8. [https://pubmed.ncbi.nlm.nih.gov/3814573/ 연결]</ref>. 1%, 1.5%, 2%, 4% 농도가 사용된다. 작용 시간이 짧은 것이 단점으로 [[에피네프린]]을 추가하면 작용 시간을 75% 정도 연장할 수 있다. 작용 발현이 빠르고 조직 침투성이 좋아 국소 마취제의 표준이 되는 마취제이다. | ||
=== 염산 메피바카인 (mepivacaine HCl) === | === 염산 메피바카인 (mepivacaine HCl) === | ||
리도카인과 임상적 효능 및 독성이 비슷하나, 작용 시간이 50% 정도 길다. [[에피네프린]]을 추가함으로서 작용 시간을 75% 정도 연장할 수 있다. 리도카인과는 달리 [[점안 마취]]에는 효과가 없다. | 리도카인과 임상적 효능 및 독성이 비슷하나, 작용 시간이 50% 정도 길다. [[에피네프린]]을 추가함으로서 작용 시간을 75% 정도 연장할 수 있다. 리도카인과는 달리 [[점안 마취]]에는 효과가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