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소 마취: 두 판 사이의 차이

620 바이트 제거됨 ,  2022년 10월 10일 (월)
잔글
11번째 줄: 11번째 줄:
최초의 아미노아미드 형태의 국소마취제이며 조직 투과성이 높아서 발현 시간이 가장 빠르지만 지속 시간이 짧은 단점이 있다<ref>Oji E et al. Bupivacaine and lignocaine for ophthalmic surgery. ''BJO''. 1987 Jan;71(1):66-8. [https://pubmed.ncbi.nlm.nih.gov/3814573/ 연결]</ref>. 1%, 1.5%, 2%, 4% 농도가 사용된다. 작용 시간이 짧은 것이 단점으로 [[에피네프린]]을 추가하면 작용 시간을 75% 정도 연장할 수 있다. 작용 발현이 빠르고 조직 침투성이 좋아 국소 마취제의 표준이 되는 마취제이다.
최초의 아미노아미드 형태의 국소마취제이며 조직 투과성이 높아서 발현 시간이 가장 빠르지만 지속 시간이 짧은 단점이 있다<ref>Oji E et al. Bupivacaine and lignocaine for ophthalmic surgery. ''BJO''. 1987 Jan;71(1):66-8. [https://pubmed.ncbi.nlm.nih.gov/3814573/ 연결]</ref>. 1%, 1.5%, 2%, 4% 농도가 사용된다. 작용 시간이 짧은 것이 단점으로 [[에피네프린]]을 추가하면 작용 시간을 75% 정도 연장할 수 있다. 작용 발현이 빠르고 조직 침투성이 좋아 국소 마취제의 표준이 되는 마취제이다.


단,고농도의 에피네프린은 안구 구조물에 허혈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1:200,000의 농도를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국소마취제 20mL에 1:1,000 에피네프린을 0.1ml 혼합해주면 된다. 7.5 turbidity units/mL 농도의 히알루론산 분해 효소를 같이 사용하기도 하는데, 안와 조직의 콜라겐 결합을 분해하여 마취제가 결합 조직 사이로 잘 퍼지도록 해주고 안압 상승의 위험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젊은 환자의 경우 결합 조직이 치밀하므로 이를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 염산 메피바카인 (mepivacaine HCl) ===
=== 염산 메피바카인 (mepivacaine HCl) ===
리도카인과 임상적 효능 및 독성이 비슷하나, 작용 시간이 50% 정도 길다. [[에피네프린]]을 추가함으로서 작용 시간을 75% 정도 연장할 수 있다. 리도카인과는 달리 [[점안 마취]]에는 효과가 없다.
리도카인과 임상적 효능 및 독성이 비슷하나, 작용 시간이 50% 정도 길다. [[에피네프린]]을 추가함으로서 작용 시간을 75% 정도 연장할 수 있다. 리도카인과는 달리 [[점안 마취]]에는 효과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