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 마취: 두 판 사이의 차이

440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0월 10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Smile님이 전방내 마취 문서를 전방 마취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전방내 마취 (intracameral anesthesia)</b> 는 최근에 백내장 수술 시 점안 마취를 한 후 추가로 1% lidocaine을 전방내 주입하여 홍채와 모양체의 신경을 추가로 마취시켜 수정체 유화술 중 홍채 조작으로 인한 환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전방 마취 (intracameral anesthesia)'''{{백내장}} 는 최근에 백내장 수술 시 점안 마취를 한 후 추가로 1% lidocaine을 전방내 주입하여 홍채와 모양체의 신경을 추가로 마취시켜 수정체 유화술 중 홍채 조작으로 인한 환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 방법 ==
각막 절개창을 통해 1% 리도카인을 0.3ml 정도 전방 내 주사한다. 에피네프린을 섞는 경우 1:1000으로 나온 앰플을 추가적으로 희석하여 1:100,000~200,000 으로 리도케인과 혼합하여 주사할 수 있다.3,11,17,18
== 적응증 ==
* 홍채,섬모체 등 안내 조직의 마취가 부족한 경우
* [[수술 중 홍채 이완 증후군]]이 있는 경우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