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역학) |
잔글 (→임상 소견)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이들은 유전 인자와 관련이 깊다고 하였다. | 이들은 유전 인자와 관련이 깊다고 하였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전방각경 검사에서 개방각이며 안압은 21 mmHg 이상으로 상승되어 있어, 증상이 없는 [[만성 개방각 녹내장]]과 유사한 임상 양상을 보인다<ref | 전방각경 검사에서 개방각이며 안압은 21 mmHg 이상으로 상승되어 있어, 증상이 없는 [[만성 개방각 녹내장]]과 유사한 임상 양상을 보인다<ref name=r3 />. 강한 스테로이드로 집중적인 점안 또는 전신 치료를 받은 경우에는 드물에 급성 녹내장의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환자의 나이와 안구의 상태에 따라서 임상 형태가 달라지기도 한다. 그 예로 스테로이드로 치료를 받은 유아는 [[선천 녹내장]]의 양상을 나타내나 나이든 사람은 [[정상 안압 녹내장]]의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현재 정상 안압 녹내장이라고 추정하는 환자들도 과거에 스테로이드 치료로 인한 안압 상승의 손상이 있었을 가능성을 항상 유념해야 한다. | ||
== 예후 == | == 예후 == | ||
대부분의 환자들에서 스테로이드 투여를 중단하고 안압 하강제,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을 통해 안압이 조절되지만<ref>Rubin B et al. The effect of SLT on IOP in patients with intravitreal steroid-induced elevated IOP. J Glaucoma. 2008 Jun-Jul;17(4):287-92. [https://pubmed.ncbi.nlm.nih.gov/18552614/ 연결]</ref> 약 3%에서는 회복 불가능한 시신경 손상이 발생하여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으로 명명되고, 1~5%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한다. | 대부분의 환자들에서 스테로이드 투여를 중단하고 안압 하강제,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을 통해 안압이 조절되지만<ref>Rubin B et al. The effect of SLT on IOP in patients with intravitreal steroid-induced elevated IOP. J Glaucoma. 2008 Jun-Jul;17(4):287-92. [https://pubmed.ncbi.nlm.nih.gov/18552614/ 연결]</ref> 약 3%에서는 회복 불가능한 시신경 손상이 발생하여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으로 명명되고, 1~5%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