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역학) |
잔글 (→조직학 소견)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유두와 유사한 세포들이 관찰될 수 있다.8 퇴축 간극은 종양 상피와 기질 사이보다는 주로 기질 내에서 관찰된다. | 유두와 유사한 세포들이 관찰될 수 있다.8 퇴축 간극은 종양 상피와 기질 사이보다는 주로 기질 내에서 관찰된다. | ||
8,12,13 | 8,12,13 | ||
== 감별 진단 == | |||
=== 기저세포암 (BCC) === | |||
BCC는 책상배열을 보이는 기저양 세포들이 종괴상 구조를 이루고, 각화성 낭종이 함께 관찰된다는 점에서 모모세포종과 유사하게 보일 수 있으나, 특징적인 기질 소견이 나타나지 않고, 염증세포의 침윤이 나타나며, 기질 내가 아닌 종양 상피와 기질 사이에 퇴축간극이 관찰되고, 모낭 분화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으로 감별해 볼 수 있다. | |||
BCC와 모모세포종의 조직학적 구분은 때때로 어려울 수 있다. 이런 경우 면역 염색이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정상 모낭에서 발현되는 CD34는 모모세포종의 간질에서 양성이지만, BCC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또한 CD10과 CK20도 모모세포종에서는 양성이지만, BCC에서는 음성이므로 도움이 될 수 있다<ref>Córdoba A, et al. Bcl-2 and CD10 expression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trichoblastoma, BCC, and BCC w follicular differentiation. ''Int J Dermatol''. 2009 Jul;48(7):713-7. [https://pubmed.ncbi.nlm.nih.gov/19570076/ 연결]</ref><ref>Kurzen H et al. Cytokeratins as markers of follicular differentiation : an IHC study of trichoblastoma and BCC. ''Am J Dermatopathol''. 2001 Dec;23(6):501-9. [https://pubmed.ncbi.nlm.nih.gov/11801790/ 연결]</ref>. 그러나 이들 면역염색이 두 종양에서 차이가 없다는 보고도 있으므로, 면역 염색 단독으로 진단을 내리는 것보다는 조직학적 특징과 임상 양상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 |||
=== 모낭상피종 === | |||
모낭상피종은 사상형태를 보이는 기저양 세포들의 응집과 수많은 각질낭을 특징으로 하며, 때로 표피와 연결이 관찰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