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 유리체, 망막, 공막 === | | === 유리체, 망막, 공막 === |
| 일반적으로 후안부에는 특별한 소견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기존의 문헌에서 유리체 흐림, [[낭포 황반부종]], 맥락막 두께 증가등이 보고되었다. | | 일반적으로 후안부에는 특별한 소견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기존의 문헌에서 유리체 흐림, [[낭포 황반부종]], 맥락막 두께 증가등이 보고되었다. |
| == 병태 생리 ==
| |
| === 세포 독성 ===
| |
| 관련된 병인들은 모두 세포 독성이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갖는다.18 특이한 화학 물질과의 관련성이 없기 때문에 질병이 발생했을 때 확인하는 과정이 매우 어렵다.
| |
| === 활성 산소 ===
| |
| 복잡한 전안부 수술을 할 때 전방 내에 주입한 물질로 인해 활성 산소가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TASS가 발생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 등은 안과 수술에 사용하는 제제들에 포함되어 있으며, 백내장 수술 과정에서 특히 [[수정체 유화술]]을 시행할 때 활성 산소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Cameron JD et al. In vitro studies of corneal wound healing : epithelial-endothelial interactions. ''Invest Ophthalmol''. 1974 Aug;13(8):575-9. [https://pubmed.ncbi.nlm.nih.gov/4841864/ 연결]</ref>.
| |
| === 혈액-방수 장벽 ===
| |
| 섬모체 상피와 홍채의 모세혈관 내피로 구성되어 있다. 홍채의 모세혈관은 연속형이며 밀착 연접을 통해 단단하게 이어져 있다<ref>Coffey KL et al. Molecular profiling and cellular localization of connexin isoforms in the rat ciliary epithelium. ''Exp Eye Res''. 2002 Jul;75(1):9-21. [https://pubmed.ncbi.nlm.nih.gov/12123633/ 연결]</ref>. 독성으로 유발된 염증과 방수 역학의 변화는 [[혈액-방수 장벽]]의 파괴를 초래하며, 이로 인해 홍채와 [[섬유주]]가 손상을 받아 방수 흐림, 섬유소 반응 및 전방 축농 등의 임상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ref>Hernandez-Bogantes E et al. TASS : A review. ''Surv Ophthalmol''. 2019 Jul-Aug;64(4):463-476. [https://pubmed.ncbi.nlm.nih.gov/30703402/ 연결]</ref>.
| |
|
| |
| == 감별 진단 == | | == 감별 진단 == |
| 감염에 의한 안내염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지만 치료법은 완전히 다르므로 두 질환을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TASS와 안내염의 감별점은 아래 표와 같다.<ref>Sengillo JD et al. Postop. Endophthalmitis and TASS Prophylaxis : 2020 Update. ''Ann Transl Med''. 2020 Nov;8(22):1548. [https://pubmed.ncbi.nlm.nih.gov/33313293/ 연결]</ref>. | | 감염에 의한 안내염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지만 치료법은 완전히 다르므로 두 질환을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TASS와 안내염의 감별점은 아래 표와 같다.<ref>Sengillo JD et al. Postop. Endophthalmitis and TASS Prophylaxis : 2020 Update. ''Ann Transl Med''. 2020 Nov;8(22):1548. [https://pubmed.ncbi.nlm.nih.gov/33313293/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