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상대 금기) |
잔글 (→시술 전 환자 준비)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망막 박리의 고위험군일 때 : 레이저 후 드물게 망막 열공이나 망막박리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조사된 에너지의 정도와 망막박리의 상관성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임상 결과가 없지만, 고위험군 환자에서는 최소한의 에너지와 최소 조사 횟수로 작은 절개를 만드는 것이 좋다. | * 망막 박리의 고위험군일 때 : 레이저 후 드물게 망막 열공이나 망막박리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조사된 에너지의 정도와 망막박리의 상관성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임상 결과가 없지만, 고위험군 환자에서는 최소한의 에너지와 최소 조사 횟수로 작은 절개를 만드는 것이 좋다. | ||
== 시술 전 평가 == | |||
모든 환자는 정확한 안과 병력 및 검진을 시행해야 한다. 이는 내과적 문진과 기존 사용약제 확인, 시력 검사, 안압 검사, 세극등 현미경 검사, 안저 검사를 포함한다. 후낭 혼탁이 환자의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판단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후낭 혼탁을 평가하는 가장 믿을 만한 방법은 직상 검안경처럼 직접 안저를 관찰하는 방법인데, 술자가 망막이 보이는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실제 환자가 보이는 정도와 상응하기 때문이다. 도상 검안경은 후낭 혼탁이 상당한 경우에도 이를 통과하므로 후낭 혼탁을 평가 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심하지 않은 후낭혼탁에서 laser interferometry나 잠재시력즉정기pofenhaZ acuity niefe?가 황반 기능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위음성이 나 위양성을 주의해야 한다. 환자의 증상이 후낭혼탁으로 설명되기에 충분하지 않으면 낭포황반부종일 수 있으므 로 관련 검사를 시행하고 불필요한 후낭절개를 하지 않아 야한다. | |||
== 시술 전 환자 준비 == | == 시술 전 환자 준비 == | ||
시술 전에는 일반적 전신 상태에 대한 파악 및 안과 검사를 실시한다. 시력, 안압, 안저 검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직접 검안경, Hurby 렌즈 등을 사용하여 평가한다. 환자에게 시술의 목적 및 성격을 설명하고 동의서를 받는다. 시술 중 소리가 나지만 아프지 않다는 것을 주지시키며 주시점을 잘 보도록 교육한다. 시술 후 안압 상승을 예방하기 위하여 레이저 직후에 α<sub>2</sub> 길항제나 베타 차단제를 점안한다. | 시술 전에는 일반적 전신 상태에 대한 파악 및 안과 검사를 실시한다. 시력, 안압, 안저 검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직접 검안경, Hurby 렌즈 등을 사용하여 평가한다. 환자에게 시술의 목적 및 성격을 설명하고 동의서를 받는다. 시술 중 소리가 나지만 아프지 않다는 것을 주지시키며 주시점을 잘 보도록 교육한다. 시술 후 안압 상승을 예방하기 위하여 레이저 직후에 α<sub>2</sub> 길항제나 베타 차단제를 점안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