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성 근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1월 3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변성 근시 (degenerative myopia) 는 병적 근시(pathologic myopia)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질환 명칭으로, 굴절력 -6.0 디옵터, 안축장 26mm 이상의 고...)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변성 근시 (degenerative myopia) 는 병적 근시(pathologic myopia)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질환 명칭으로, 굴절력 -6.0 디옵터, 안축장 26mm 이상의 고도 근시 중 황반을 포함한 후극의 확장인 후포도종과 점진적인 맥락망막변성 소견 등 퇴행성 변화를 동반한 경우로 정의된다.<br />일반적으로 -8.0 디옵터 이상의 고도 근시는 보통 안축장의 비정상적인 증가와 시기능의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변성 근시에서 동반하는 황반부의 변화는 회복되지 않는 실명의 중요한 원이 중 하나이다.
'''변성 근시 (degenerative myopia)''' 는 병적 근시 (pathologic myopia) 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질환 명칭으로, 굴절력 -6.0 디옵터, 안축장 26mm 이상의 고도 근시 중 황반을 포함한 후극의 확장인 후포도종과 점진적인 맥락망막변성 소견 등 퇴행성 변화를 동반한 경우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8.0 디옵터 이상의 고도 근시는 보통 안축장의 비정상적인 증가와 시기능의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변성 근시에서 동반하는 황반부의 변화는 회복되지 않는 실명의 중요한 원이 중 하나이다.
== 역학 ==
== 역학 ==
근시의 유병률은 백인을 대상으로 하는 서구의 역학 조사 결과 약 25% 정도로 추정되었으나 최근 아시아 인구에서는 전체 인구의 50~70%의 유병률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젊은 연령층에서 근시 유병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일부 연구에서는 고학력일수록 근시 비중이 증가하고, 근거리 작업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br />전체 근시 인구 중 변성 근시는 27~33.2%의 빈도로 발생하며, 실제 전체 인구에서는 *7~2.1%로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 여성에서 남성보다 빈도가 높고, 아시아계 민족에서 빈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시 인구 전체에 대한 변성 근시의 비율은 이집트에서는 0.2%, 스페인계에서는 9.6% 정도이지만 일본인에서는 18% 정도로 발생 비율이 차이가 있으며 일본의 경우 전체 인구의 약 1%가 변성 근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br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시력 상실 가능성이 증가하며 점차 노령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주요한 실명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일본의 주요 실명 원인 중 녹내장, [[당뇨 망막병증]]에 이어 3번째로 빈발하는 실명 원인으로 보고되었으며 [[나이관련 황반변성]] 및 백내장과 더불어 5대 실명 원인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주요 아시아 국가인 중국, 싱가포르 등에서도 주요 실명 원인으로 제시되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우리나라에서도 변성 근시에 의한 실명이 유의할 정도로 발생하고 있으며 앞으로 중요한 의료-사회 문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근시의 유병률은 백인을 대상으로 하는 서구의 역학 조사 결과 약 25% 정도로 추정되었으나 최근 아시아 인구에서는 전체 인구의 50~70%의 유병률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젊은 연령층에서 근시 유병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일부 연구에서는 고학력일수록 근시 비중이 증가하고, 근거리 작업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br />전체 근시 인구 중 변성 근시는 27~33.2%의 빈도로 발생하며, 실제 전체 인구에서는 *7~2.1%로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 여성에서 남성보다 빈도가 높고, 아시아계 민족에서 빈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시 인구 전체에 대한 변성 근시의 비율은 이집트에서는 0.2%, 스페인계에서는 9.6% 정도이지만 일본인에서는 18% 정도로 발생 비율이 차이가 있으며 일본의 경우 전체 인구의 약 1%가 변성 근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br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시력 상실 가능성이 증가하며 점차 노령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주요한 실명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일본의 주요 실명 원인 중 녹내장, [[당뇨 망막병증]]에 이어 3번째로 빈발하는 실명 원인으로 보고되었으며 [[나이관련 황반변성]] 및 백내장과 더불어 5대 실명 원인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주요 아시아 국가인 중국, 싱가포르 등에서도 주요 실명 원인으로 제시되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우리나라에서도 변성 근시에 의한 실명이 유의할 정도로 발생하고 있으며 앞으로 중요한 의료-사회 문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