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성 근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2년 11월 3일 (목)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15번째 줄: 15번째 줄:
* 망막 주변부 변성
* 망막 주변부 변성
* 유리체 변화
* 유리체 변화
* [[근시성 맥락막 신생 혈관]]
* [[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
 
== 조직병리 ==
== 조직병리 ==
* 공막 ; 후포도종 부위의 공막은 얇아져 있으며 이에 따른 팽창이 관찰된다. 교원질 다발은 얇아져 ㅇ씨으며, 각 교원질 섬유의 직경 감소, 횡문 소실, 공막층판 감소 등이 관찰된다. 근시성 공막에서는 콜라겐 섬유 자체가 비정상적으로 가늘고 그 수가 감소되어 있으며 섬유간 교질의 비정상적인 증가가 관찰된다.
* 공막 ; 후포도종 부위의 공막은 얇아져 있으며 이에 따른 팽창이 관찰된다. 교원질 다발은 얇아져 ㅇ씨으며, 각 교원질 섬유의 직경 감소, 횡문 소실, 공막층판 감소 등이 관찰된다. 근시성 공막에서는 콜라겐 섬유 자체가 비정상적으로 가늘고 그 수가 감소되어 있으며 섬유간 교질의 비정상적인 증가가 관찰된다.
* 맥락막과 [[망막 색소 상피]] : 맥락막은 점차 얇아지고 혈관이 부분적으로 없어지면서 맥락막의 색소세포들도 소실된다. 특히 맥락막 모세혈관이 심하게 얇아져 있는 것이 중요한 병리적 변화이다. [[망막 색소 상피]]는 변성에 앞서 정상보다 편평해지고 커지며, 일부에서는 망막 색소상피와 시각 세포들이 뮬러 세포로 치환된다. 부르크막은 얇아지고 갈라지거나 파열되는 다양한 변화를 보인다. 맥락막 위축과 동반해서 감각신경세포층이 얇아지면서 황반 위축으로 진행되면서 최종적으로 망막 신경절 세포의 소실이 동반되면서 황반부 두께가 감소하게 된다.
* 맥락막과 [[망막 색소 상피]] : 맥락막은 점차 얇아지고 혈관이 부분적으로 없어지면서 맥락막의 색소세포들도 소실된다. 특히 맥락막 모세혈관이 심하게 얇아져 있는 것이 중요한 병리적 변화이다. [[망막 색소 상피]]는 변성에 앞서 정상보다 편평해지고 커지며, 일부에서는 망막 색소상피와 시각 세포들이 뮬러 세포로 치환된다. 부르크막은 얇아지고 갈라지거나 파열되는 다양한 변화를 보인다. 맥락막 위축과 동반해서 감각신경세포층이 얇아지면서 황반 위축으로 진행되면서 최종적으로 망막 신경절 세포의 소실이 동반되면서 황반부 두께가 감소하게 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