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성 근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2년 11월 5일 (토)
잔글
25번째 줄: 25번째 줄:
유리체젤 성분은 수분 99%, 수용성 단백질과 히알루론산 0.1%로 구성되어 있다. 유리체 피질에 유리체세포와 2형 교원질 섬유가 주로 분포한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리체내의 히알루론산 분자가 융해하므로 유리체젤의 분해가 일어나고, 교원질망이 불완전하게 되므로 액화 현상이 일어난다. 유리체 액화가 생기면 유리체강내의 수분 함유는 증가되나 유리체젤의 용적은 줄어들어 [[후유리체 박리]] (PVD) 가 발생한다.
유리체젤 성분은 수분 99%, 수용성 단백질과 히알루론산 0.1%로 구성되어 있다. 유리체 피질에 유리체세포와 2형 교원질 섬유가 주로 분포한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리체내의 히알루론산 분자가 융해하므로 유리체젤의 분해가 일어나고, 교원질망이 불완전하게 되므로 액화 현상이 일어난다. 유리체 액화가 생기면 유리체강내의 수분 함유는 증가되나 유리체젤의 용적은 줄어들어 [[후유리체 박리]] (PVD) 가 발생한다.


근시안의 [[후유리체 박리|PVD]]는 비근시안보다 조기에, 광범위하게 생기며 근시가 심할수록 빈도는 증가한다. 급성 PVD는 유리체-망막 견인에 의한 광시증과 날파리증을 동반한다. 갑자기 후유리체 박리가 진행되는 경우 격자 변성 주변부의 유리체 견인부에서 망막 열공을 유발하면서 망막 혈관 파열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경-중등도의 유리체 출혈이 동반된다. 고도근시안에서 갑자기 발생한 유리체 출혈의 경우 망막 열공을 동반할 가능성이 높 기 때문에 이에 대한 확인이 필수적이다.
근시안의 [[후유리체 박리|PVD]]는 비근시안보다 조기에, 광범위하게 생기며 근시가 심할수록 빈도는 증가한다. 급성 PVD는 유리체-망막 견인에 의한 광시증과 날파리증을 동반한다. 갑자기 후유리체 박리가 진행되는 경우 격자 변성 주변부의 유리체 견인부에서 망막 열공을 유발하면서 망막 혈관 파열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경-중등도의 유리체 출혈이 동반된다. 고도근시안에서 갑자기 발생한 유리체 출혈의 경우 망막 열공을 동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확인이 필수적이다.
 
=== [[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 ===
=== [[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 ===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