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새 문서: 유리체강내 주사 (intravitreal injection) == 시술 과정 == * 산동 : 특별한 금기 사항이 있지 않는 이상 합병증 등의 적절한 관찰을 위해 산동을...)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유리체강내 주사 (intravitreal injection) | '''유리체강내 주사 (intravitreal injection)'''{{망막}} | ||
== 시술 과정 == | == 시술 과정 == | ||
* 산동 : 특별한 금기 사항이 있지 않는 이상 합병증 등의 적절한 관찰을 위해 산동을 하는 것이 선호된다. | * 산동 : 특별한 금기 사항이 있지 않는 이상 합병증 등의 적절한 관찰을 위해 산동을 하는 것이 선호된다.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주사 : 집게나 면봉 등으로 결막을 displace 시키고 안구를 고정한 후 약 30~40도의 각도로 1.5mm 진입 후 주사기를 세워서 약 6mm 수직으로 진행시켜 주사하고 주입한 반대 순서로 제거한다. 유리체강 내로 주사할 때는 빠르게 주사하면 주사약이 유리체강 내에서 과도하게 퍼질 수 있고, 주사기로부터 바늘이 빠질 수도 있으므로 천천히 시행한다. 주사 후에 바늘을 조심스럽게 눈으로부터 빼내야 하며, 주사액이나 유리체가 역류되어 나오지 않도록 소독된 면봉으로 약 10초간 눌러 준다. | * 주사 : 집게나 면봉 등으로 결막을 displace 시키고 안구를 고정한 후 약 30~40도의 각도로 1.5mm 진입 후 주사기를 세워서 약 6mm 수직으로 진행시켜 주사하고 주입한 반대 순서로 제거한다. 유리체강 내로 주사할 때는 빠르게 주사하면 주사약이 유리체강 내에서 과도하게 퍼질 수 있고, 주사기로부터 바늘이 빠질 수도 있으므로 천천히 시행한다. 주사 후에 바늘을 조심스럽게 눈으로부터 빼내야 하며, 주사액이나 유리체가 역류되어 나오지 않도록 소독된 면봉으로 약 10초간 눌러 준다. | ||
* 주사 후 역류 : 역류에 관련된 요소로는 안압, 공막 두께, 유리체 액화 정도, [[후유리체 박리]] 등이 영향을 미치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경우에 유리체 감돈을 유발한다. 역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주사할 때 좀 더 가는 바늘을 사용하거나, 바늘을 공막면에 직각보다는 경사지게 주입하는 방법이 도움이 된다. 30게이지 바늘을 사용하였을 경우 53%, 32게이지에서 13% 역류 현상이 관찰되었다는 보고도 있다. 그러나 최근 사체를 이용한 연구에 따르면 50㎕를 30게이지 주사 바늘로 안내 주사 하였을 때 역류한 양은 평균 0.37㎕(0.74%) 정도로 미미하기 때문에 유리체강내 약물 농도 유지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보고도 있다. | * 주사 후 역류 : 역류에 관련된 요소로는 안압, 공막 두께, 유리체 액화 정도, [[후유리체 박리]] 등이 영향을 미치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경우에 유리체 감돈을 유발한다. 역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주사할 때 좀 더 가는 바늘을 사용하거나, 바늘을 공막면에 직각보다는 경사지게 주입하는 방법이 도움이 된다. 30게이지 바늘을 사용하였을 경우 53%, 32게이지에서 13% 역류 현상이 관찰되었다는 보고도 있다. 그러나 최근 사체를 이용한 연구에 따르면 50㎕를 30게이지 주사 바늘로 안내 주사 하였을 때 역류한 양은 평균 0.37㎕(0.74%) 정도로 미미하기 때문에 유리체강내 약물 농도 유지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보고도 있다. | ||
== 주사 후 처치 == | |||
=== 주사 후 항생제 === | |||
주사 후 항생제 사용을 고려할 수 있으나, 추후 항생제 내성 발생을 고려하여 권하지 않는추세이다. 그러나 면역 저하 환자나 당뇨 환자, 안검의 위생이 안 좋은 환자 등에서는 술자의 판단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 |||
=== 안압 === | |||
주사 후 안압을 확인한다. 안압이 오른 것이 확실하다고 생각될 때는 치료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중심 망막 동맥의 압력보다 더 높게 안압이 올랐거나, 환자가 주사 후 1~2분 이상 광각이 없을 때 치료를 행하게 된다. 그러나 주사 를 놓은 이후 일시적으로 흐리거나 뿌옇게 보이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고 치료를 요하지 않는다. | |||
=== 퇴원 === | |||
별문제 없이 유리체강내 주입술이 끝난 환자의 경우 퇴원 후 특별한 주의 사항은 없다. 하지만 환자는 눈을 비비지 않도록 해야 하고, 안내염이나 망막 박리, 눈속 출혈, 안압 상승 등이 나타났을 때의 증상을 알려주어야 한다. 그 증상들은 주사 직후와 비교했을 때 안구 통증, 이물감, 충혈 의 증가 그리고 시력 감소, 빛에 대한 예민도 증가 등이다. 환자에게 주사 후 약간 흐리게 보일 수 있다는 것과 떠다니는 것이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어야 한다. 떠다니는 것은 일반적으로 며칠에서 몇 주 사이에 호전된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