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 백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3 바이트 제거됨 ,  2022년 11월 18일 (금)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분류)
 
8번째 줄: 8번째 줄:
* 선천 층판 백내장 : 수정체의 한 층이 혼탁하고 주위는 투명한 경우이다. 수정체 발생 중에 가해진 손상으로 생 긴 중심 핵백내장이 새로운 섬유가 자람에 따라 평생에 걸쳐 점점 더 수정체 속으로 깊숙하게 이동한다.
* 선천 층판 백내장 : 수정체의 한 층이 혼탁하고 주위는 투명한 경우이다. 수정체 발생 중에 가해진 손상으로 생 긴 중심 핵백내장이 새로운 섬유가 자람에 따라 평생에 걸쳐 점점 더 수정체 속으로 깊숙하게 이동한다.
* 배아 핵백내장 : 임신 첫 두 달 동안 수정체에 손상이 발생하며 생기며 수정체 가운데에 작은 혼탁이 보인다.
* 배아 핵백내장 : 임신 첫 두 달 동안 수정체에 손상이 발생하며 생기며 수정체 가운데에 작은 혼탁이 보인다.
* 태아 핵백내장 (봉합 백내장) : 임신 3달째에 생긴 손상 으로 발생하며,전후 Y 봉합면 사이 혹은 봉합선에서 발생한다. 이차적인 분지를 가지는 봉합 혼탁은 그 후 임신기에 생긴 기형적 손상을 의미한다. 이후 손상에 따라 생기는 핵 주위 층판은 핵을 감싸 안는 백내장 층으로,수정체낭과는 동심원처럼 위치한다.
* 태아 핵백내장 (봉합 백내장) : 임신 3달째에 생긴 손상 으로 발생하며, 전후 Y 봉합면 사이 혹은 봉합선에서 발생한다. 이차적인 분지를 가지는 봉합 혼탁은 그 후 임신기에 생긴 기형적 손상을 의미한다. 이후 손상에 따라 생기는 핵 주위 층판은 핵을 감싸 안는 백내장 층으로, 수정체낭과는 동심원처럼 위치한다.
* 층판 백내장 : 수정체 구조의 층을 따라 생기며 주변부는 투명한 피질층으로 싸여 있다.
* 층판 백내장 : 수정체 구조의 층을 따라 생기며 주변부는 투명한 피질층으로 싸여 있다.
* 극성 백내장 : 전극 혹은 후극에 생긴다. 앞쪽 수정체 상피의 섬유성 화생으로 전극 백내장이 생긴다.
* 극성 백내장 : 전극 혹은 후극에 생긴다. 앞쪽 수정체 상피의 섬유성 화생으로 전극 백내장이 생긴다.
* 피라미드 백내장 : 배아 발생 시 동공막의 과형성에 의해 결합 조직의 원추체 덩어리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전낭하 플라크와 함께 상피세포의 부분적 결손이 보인다.
* 피라미드 백내장 : 배아 발생 시 동공막의 과형성에 의해 결합 조직의 원추체 덩어리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전낭하 플라크와 함께 상피세포의 부분적 결손이 보인다.
* 후극 백내장 : 일차 유리체 증식으로 인해 생긴 디스크 모양 혼탁이다. 후낭하 피질의 변성으로 혼탁이 진 행될 수 있다. 미텐도르프점이라고 불리는 유리체 혈관 잔류물은 수정체 후면에 작고 진한 흰색 점으로 보이며,임상적으로는 무의미하다.
* 후극 백내장 : 일차 유리체 증식으로 인해 생긴 디스크 모양 혼탁이다. 후낭하 피질의 변성으로 혼탁이 진행될 수 있다. 미텐도르프점이라고 불리는 유리체 혈관 잔류물은 수정체 후면에 작고 진한 흰색 점으로 보이며, 임상적으로는 무의미하다.
 
== 수술 ==
== 수술 ==
3 mm 이상의 중심부 백내장, 치밀한 핵백내장(dense nuclear cataract), 안저 관찰이 어려운 경우, 사시나 약시 등을 유발할 경우 수술의 적응증이 된다<ref>Khokhar SK et al. Innovations in pediatric cataract surgery. ''Indian J Ophthalmol''. 2017 Mar;65(3):210-216. [https://pubmed.ncbi.nlm.nih.gov/28440249/ 연결]</ref>.
3 mm 이상의 중심부 백내장, 치밀한 핵백내장(dense nuclear cataract), 안저 관찰이 어려운 경우, 사시나 약시 등을 유발할 경우 수술의 적응증이 된다<ref>Khokhar SK et al. Innovations in pediatric cataract surgery. ''Indian J Ophthalmol''. 2017 Mar;65(3):210-216. [https://pubmed.ncbi.nlm.nih.gov/28440249/ 연결]</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