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정적 검사) |
잔글 (→결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수동 시야계는 약 1초, 험프리 시야계는 약 0.2초, Octopus 시야계는 약 0.1초 동안 시표를 비춘다. 이러한 방법을 전시야에서 반복 시행한다. 많은 점을 검사할수록 더 많은 결손 부위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80군데 이상을 검사하면 피검자가 피곤해하며, 정확도와 신뢰도가 감소한다. 6˚ 간격으로 중심 30˚ 시야를 검사하면 75~80 군데가 된다. | 수동 시야계는 약 1초, 험프리 시야계는 약 0.2초, Octopus 시야계는 약 0.1초 동안 시표를 비춘다. 이러한 방법을 전시야에서 반복 시행한다. 많은 점을 검사할수록 더 많은 결손 부위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80군데 이상을 검사하면 피검자가 피곤해하며, 정확도와 신뢰도가 감소한다. 6˚ 간격으로 중심 30˚ 시야를 검사하면 75~80 군데가 된다. | ||
== 결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 == | == 결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 == | ||
=== 시표 === | |||
동적이나 정적 시야 측정에서 표준 시표는 흰색으로 원형에 가까우며 시표는 넓이와 밝기에 의해 특정지워진다. 망막의 빛에 대한 감도는 시표의 넓기와 밝기에 비례하여 시표가 너무 크거나 밝으면 작은 결손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너무 어두우면 없는 결손을 만드는 수도 있다. 시야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특히 동적 시야 측정에서는) 이전에 사용한 것과 같은 시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녹내장 시야 결손을 발견하는 데는 흰색과 색 시표가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연구와 색시표를 이용한 시야 검사가 더 좋다는 연구가 있다. 노란색 조명에 파란색 시표를 이용한 시야 검사 (blue-on-yellow perimetry) 는 초기 녹내장성 시야 결손을 발견하는 데 유용하다고 한다. | |||
=== 배경 조명 === | |||
=== 검사 영역 === | |||
=== 검사자 === | |||
== 시야 판독 결과 지표 (global indices) == | == 시야 판독 결과 지표 (global indi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