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야 검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36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1월 26일 (토)
잔글
24번째 줄: 24번째 줄:
=== 검사자 ===
=== 검사자 ===
검사 시기 및 검사자에 따라서도 결과가 다르므로 의사는 검사자 개개인의 기술과 정확도 등에 유의하여 해석해야 한다.
검사 시기 및 검사자에 따라서도 결과가 다르므로 의사는 검사자 개개인의 기술과 정확도 등에 유의하여 해석해야 한다.
=== 피검자의 나이 ===
나이가 증가할수록 시야의 감도는 반비례로 감소하는데, 50세 이후에 감소한느 속도가 증가한다. 나이에 따른 변화는 주변부 시야에서 주로 나타나기 때문에 나이가 들면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시야의 감도가 더 급하게 감소하게 된다. 나이에 따른 시야 감도의 저하는 노화에 딸느 매질의 혼탁, 동공 크기의 감소, 망막 세포의 감소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으나 주로 노화에 따른 망막 신경섬유의 감소가 주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나이에 따른 변화는 10세가 증가할수록 평균 0.58~1.0 dB 감소하며 나이가 증가할수록 반복 검사에서 변동성이 증가한다. 정상인의 경우 평균 감도의 표준 편차는 2.0~2.7 dB이다. 그러나, 60세 이상에서는 이 표준 편차가 약 2배 이상으로 증가하는데, 이는 60세 이상의 피검자들이 자극에 일정하게 반응하지 못하고 또 검사에 쉽게 피로를 느끼기 때문이다. 나이의 영향을 주로 주변 , 상부 시야에서 관찰된다.
=== 주시 ===
피검자는 시야계의 한 가운데를 주시해야 한다. 중심 암점이 있어 중심 주시를 할 수 없는 환자는 상하좌우에 있는 각 두 점을 마음속에서 십자(+)형으로 연결하고 그 교차점을 주시하게 한다. 자동 시야계에서는 피검자의 주시 정도가 자동으로 기록된다. 주시를 못한 피검자의 검사 결과는 실제 시야를 정확하게 나타내었다고 할 수 없다.
=== 신뢰도 ===
주시 이외에 피검자의 신뢰도도 검사자에 의해 '좋음' 또는 '나쁨' 등으로 기록된다. 자동 시야계는 가양성률, 가음성률, 주시 상실 등으로 신뢰도를 표시한다. 피로, 약물, 나이, 질병 등이 피검자의 신뢰도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결과를 판독할 때 이를 참고해야 한다. 검사 결과의 변동성은 반복 검사에서는 학습 효과에 의해 줄어든다. 그러므로 맨 처음 검사가 제일 부정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검자는 기계보다 검사자와 대화하면서 검사하기를 좋아하므로 자동 시야계로 검사를 할 때에도 검사자가 검사 방법을 설명해주면 신뢰도는 향상된다.


== 시야 판독 결과 지표 (global indices) ==
== 시야 판독 결과 지표 (global indices)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