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형 과립 각막이상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83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2월 26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역학)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역학 ==
== 역학 ==
국내에서는 동형접합자 수를 근거로 한 Hardy-Weinberg 공식에 따른 산출의 경우 이형접합자의 빈도가 1만 명당 11.5명<ref>Lee JH et al. Prevalence of GCD2 (Avellino corneal dystrophy) in the Korean population. ''Ophthalmic Epidemiol''. 2010 Jun;17(3):160-5. [https://pubmed.ncbi.nlm.nih.gov/20455845/ 연결]</ref>, 일부 혈액원에 수집된 제대혈 전수검사에 의한 연구에서는 1만 명당 29.1명의 유병률<ref>Park JE et al. Prevalence of GCD2-related TGFBI p.R124H variant in a South Korean population. ''Mol Vis''. 2021 May 8;27:283-287. [https://pubmed.ncbi.nlm.nih.gov/34012230/ 연결]</ref>을 보이는 드물지 않은 질환이다.
국내에서는 동형접합자 수를 근거로 한 Hardy-Weinberg 공식에 따른 산출의 경우 이형접합자의 빈도가 1만 명당 11.5명<ref>Lee JH et al. Prevalence of GCD2 (Avellino corneal dystrophy) in the Korean population. ''Ophthalmic Epidemiol''. 2010 Jun;17(3):160-5. [https://pubmed.ncbi.nlm.nih.gov/20455845/ 연결]</ref>, 일부 혈액원에 수집된 제대혈 전수검사에 의한 연구에서는 1만 명당 29.1명의 유병률<ref>Park JE et al. Prevalence of GCD2-related TGFBI p.R124H variant in a South Korean population. ''Mol Vis''. 2021 May 8;27:283-287. [https://pubmed.ncbi.nlm.nih.gov/34012230/ 연결]</ref>을 보이는 드물지 않은 질환이다.
 
== 유전, 병인 ==
== 유전 ==
상염색체 우성 유전하는 질환으로, Stone 등은 격자 각막 이상증 1형, 제 1, 2형 과립 각막 이상증이 모두 5번 염색체 장완(5q31)의 TGF-β 유발 유전자 (TGFβI)의 돌연변이로 발생한다고 보고하고, 이와 관련된 질환들을 통칭하여 TGFβI 연관 각막 이상증이라고 불렀다.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은 Arg124His 돌연변이이다. 이로 인해 생성된 비정상적인 단백질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induced protein, TGFBIp) 이 각막세포 외기질에 침착되어 혼탁을 유발한다.4-6
상염색체 우성 유전하는 질환으로, Stone 등은 격자 각막 이상증 1형, 제 1, 2형 과립 각막 이상증이 모두 5번 염색체 장완(5q31)의 TGF-β 유발 유전자 (TGFβI)의 돌연변이로 발생한다고 보고하고, 이와 관련된 질환들을 통칭하여 TGFβI 연관 각막 이상증이라고 불렀다.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은 Arg124His 돌연변이이다.
== 분류 ==
== 분류 ==
* 동형 접합자 : 병변이 약 3세에 발생한다.
* 동형 접합자 : 병변이 약 3세에 발생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