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동형 접합자) |
잔글 (→수술적 치료)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라식]]이나 [[라섹]] 등 각막을 포함한 굴절 수술 후 각막혼탁이 악화된 GCD2 환자들의 사례가 국내외에서 보고된 이후로<ref>Roh MI et al. Avellino corneal dystrophy exacerbated after LASIK : scanning EM findings. ''Cornea''. 2006 Apr;25(3):306-11. [https://pubmed.ncbi.nlm.nih.gov/16633031/연결]</ref><ref>Banning CS et al. Exacerbation of Avellino corneal dystrophy after LASIK in North America. ''Cornea''. 2006 May;25(4):482-4. [https://pubmed.ncbi.nlm.nih.gov/16670492/ 연결]</ref><ref>Jun RM et al. Avellino corneal dystrophy after LASIK. ''Ophthalmology''. 2004 Mar;111(3):463-8. [https://pubmed.ncbi.nlm.nih.gov/15019320/ 연결]</ref>, 중심 각막에 시술이 이루어지는 굴절 수술은 GCD2 환자들의 경우 금기로 여겨진다. 한편 굴절 수술의 주요 연령층인 20대에서는 GCD2 이형 접합자의 표현형이 노년층에 비하여 적게 나타나는 세대로 수술 대상자 선정에 주의가 필요하다. | [[라식]]이나 [[라섹]] 등 각막을 포함한 굴절 수술 후 각막혼탁이 악화된 GCD2 환자들의 사례가 국내외에서 보고된 이후로<ref>Roh MI et al. Avellino corneal dystrophy exacerbated after LASIK : scanning EM findings. ''Cornea''. 2006 Apr;25(3):306-11. [https://pubmed.ncbi.nlm.nih.gov/16633031/연결]</ref><ref>Banning CS et al. Exacerbation of Avellino corneal dystrophy after LASIK in North America. ''Cornea''. 2006 May;25(4):482-4. [https://pubmed.ncbi.nlm.nih.gov/16670492/ 연결]</ref><ref>Jun RM et al. Avellino corneal dystrophy after LASIK. ''Ophthalmology''. 2004 Mar;111(3):463-8. [https://pubmed.ncbi.nlm.nih.gov/15019320/ 연결]</ref>, 중심 각막에 시술이 이루어지는 굴절 수술은 GCD2 환자들의 경우 금기로 여겨진다. 한편 굴절 수술의 주요 연령층인 20대에서는 GCD2 이형 접합자의 표현형이 노년층에 비하여 적게 나타나는 세대로 수술 대상자 선정에 주의가 필요하다. | ||
== | == 치료 == | ||
=== PTK === | |||
동형 접합자의 경우 시력을 유지하기 위해 이른 시기부터 [[치료 레이저 각막 절제술]] (PTK) 와 각막 이식 등을 반복적으로 시행받게 되는데, 동형 접합자의 PTK와 각막이식술 후 재발까지의 기간은 각각 10~18개월, 12~24개월로 보고되었고, PTK가 반복될수록 재발은 더욱 일찍, 더욱 심하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인다.9 이형 접합자의 시력 저하는 중년 이후 서서히 나타나며, PTK 후 즉각적인 시력 회복이 가능하지만, 11,12,24,25 재발까지의 기간은 약 3년 후로 알려져 있다<ref>Dinh R et al. Recurrence of corneal dystrophy after excimer laser PTK. ''Ophthalmology''. 1999 Aug;106(8):1490-7. [https://pubmed.ncbi.nlm.nih.gov/10442892/ 연결]</ref><ref>Inoue T et al. Recurrence of corneal dystrophy resulting from an R124H Big-h3 mutation after PTK. ''Cornea''. 2002 Aug;21(6):570-3. [https://pubmed.ncbi.nlm.nih.gov/12131032/ 연결]</ref>. 복합 이형 접합자의 경우 시력저하로 인해 일반적인 단순이형 접합자보다 이른 시기에 PTK 혹은 각막이식술을 시행받게 되고, 치료 이후에 즉시 시력 개선을 보인다. | |||
=== 각막 이식 === | |||
DALK나 PKP 등 각막이식술은 시행 후 3년까지 재발하지 않았던 보고13와 더불어 3년 후에 재발하였던 보고15 등이 있어 결과가 일정하지 않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