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간 안근 마비

핵간 안근 마비 (핵사이 눈근육 마비)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INO) 는 교뇌 중간과 동안신경핵 사이의 안쪽 세로 다발 병변이다.

원인

  • 다발성 경화증 : 젊은 사람, 특히 양측성인 경우
  • 혈관 질환 (허혈 및 출혈) : 양측성과 일측성이 비슷한 비율로 발생하고 나이가 많은 사람
  • 염증, 두부 외상, 종양, D-penicillamine사용, 관상동맥 수술 등
  • 탈수초 질환 : 신속 내전 운동과 그 외의 다른 내전 운동 사이에 불일치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저주파의 신경 자극은 전달하지만 신속 운동을 위한 고주파의 신경 자극은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며 신속 운동의 속도가 느려진다.

분류

  • 후 (posterior) 핵간 안근 마비 : 신속 운동 및 원활 추종 운동 시 눈의 외전 장애가 오나 전정 자극으로 인한 눈 운동은 정상인 상태를 말하며, 매우 드물고 병인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임상 소견

병변 반대쪽으로의 수평 주시 때 같은쪽 내전 마비를 유발하나 눈모음은 정상적으로 일어난다. 눈모음이 되지 않을 때도 있는데 눈모음이 안 된다고 해서 입쪽의 안쪽 세로 다발의 병변으로 내직근핵이 침범되었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눈모음 가능 여부에 따라서 핵간마비의 위치를 결정할 수는 없다. 같은쪽 눈의 내전 장애는 그 정도가 다양해서 완전 마비일 수도 있고 또는 아주 경미해서 신속 내전 운동을 일으켰을 때 그 속도가 약간 느린 정도인 경우도 있다. 이견이 있끼는 하나 내전 제한은 추종 운동과 신속 운동 모두에서 나타나고, 온도 눈떨림 검사(caloric test)에서 반응이 없다.

수평 주시 때 외전되는 눈에 눈떨림이 일어나는데, 이것은 약한 내직근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해리 눈떨림). 스큐 편위와 동반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핵간 마비로 인한 이석-안구 연결의 장애 때문으로 생각된다.

일측성 핵간 마비 때 주관적인 수직 시야의 기울어짐이나 안구 회선, 스큐 편이 같은 눈기울임 반응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나 양측성일 때에는 눈기울임 반응의 증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한쪽 병변일 때는 머리를 좌우로 기울이는 roll plane에서 중력 수용 경로에 불균형의 자극을 전달하지만 안쪽에 병변이 있으면 중력 수용 경로에 자극의 불균형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양측성 핵간 마비는 수직 주시 유발 눈떨림, 수직 추종 운동 장애, 수직 시운동 눈떨림, 수직 주시 유지, 수직 각 전정 안반사의 이득 감소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런 눈운동 장애로 인해서 복시 및 떨림보기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제일 안위에서는 정위이거나 외사위이다. 때에 따라 양측성인 경우 외사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마비가 있는 눈으로 주시할 경우 핵간 마비로 인해서 내전이 안 되므로 주시하는 눈을 내전시키기 위해서 반대쪽 PPRF가 흥분성 자극을 보내게 되며 따라서 그쪽 눈이 과도하게 외전되기 때문에 외사시가 된다고 생각한다.

경과 및 예후

발병 6개월 안에 49.2%에서 완전히 회복되며 염증과 탈수초증으로 인한 경우 비교적 예후가 좋다. 외상에 의한 경우는 60%, 혈관 질환에 의한 경우는 35~40%에서 회복된다. 종양에 의해 발생한 경우는 회복이 잘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