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광화학적 망막 손상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광화학적 망막 손상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돋보기로 태양빛을 모아 신문지를 태우는 것처럼, 1960년 대까지는 태양을 오랜 시간 쳐다보면 망막이 광열손상, 즉 화상을 입는다는 생각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1966년 Noell은 쥐를 이용한 빛 손상 실험을 통해 활성 산소에 의한 새로운 종류의 세포 손상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를 얻었고, 종래의 단백질 변성에 의한 광열 손상과는 다른 '''광화학적 망막 손상 (photochemical retinal degeneration)'''{{망막}} 의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했다. 광화학적 손상은 빛에 의한 망막 손상의 세 가지 형태 중 가장 흔한 형태이며,태양에 직접 노출되거나 다양한 수술 기구를 포함한 인공적인 광원에 노출돼 광화학적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 기전 == 강렬한 조도의 빛에 수 초에서 수 분간 노출될 경우 광열 손상을 일으킬 만한 망막의 온도 상승이 일어나지 않더라도 광화학 반응은 일어날 수 있다. 이 반응에 의해 생겨난 활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은 망막 세포막, 단백질, 탄수화물, 핵산에 손상을 일으킨다. 광화학적 손상 정도는 개개인의 방어 기전, 노출된 망막의 위치와 범위, 기간, 강도, 빛의 스펙트럼에 의해 정해진다. === 광민감제 매개 광독성 === 유독성은 빛의 파장이 짧 아질수록 빠르게 증가하며, 그 스펙트럼은 RPE 안의 리포푸신 (lipofuscin) 의 흡수 스펙트럼과 비슷하다 47,49_51 무수정체안에서 자외선, 자색광, 청색광은 안저 광독성에서 각각 67%, 18%, 14%을 차지한다<ref>Mainster MA et al. Blue-blocking IOLs decrease photoreception wo providing significant photoprotection. ''Surv Ophthalmol''. 2010 May-Jun;55(3):272-89. [https://pubmed.ncbi.nlm.nih.gov/19883931/ 연결]</ref><ref>Mainster MA. Blue-blocking IOLs and pseudophakic scotopic sensitivity. ''JCRS''. 2006 Sep;32(9):1403-4; author reply 1404-5; discussion 1406. [https://pubmed.ncbi.nlm.nih.gov/16931231/ 연결]</ref>. 성인의 수정체는 자외선 및 짧은 파장의 가시광선을 감쇠시키는 추가적인 방어막 역할을 하므로, 성인 수정체 안에서는 자외선과 자색광보다는 청색광의 광독성이 더 두드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blue light hazard).46,47,54 === 광색소 매개 광독성 === 유독성은 암소시(scotopic vision) 의 빛 민감도와 비슷하게 500nm 파장의 청록광에서 가장 강하다. 이는 두 과정 모두 시색소인 로돕신에 의해 매개되기 때문이다.47.55,56 광색소 매개 광망막병증은 광민감제 매개에서 일어나는 데 필요한 조사량의 1%의 노출만 있어도 발생할 수 있다는 실험실 수준의 연구 결과가 알려져 있다. 48,57-59-그러나 이는 빛에 민감한 야행성 설치류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임을 고려해야 한다. == 분류 == === [[일광 망막병증]]과 [[용접 광망막병증]] ===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광화학적 망막 손상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광화학적 망막 손상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