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존스 이차 염색 검사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존스 이차 염색 검사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존스 이차 염색 검사 (Jones test II)</b> == 검사 방법 == [[존스 일차 염색 검사]] 후 우선 결막낭에 남아있는 염색약을 세척해내고 아래 눈물점을 통하여 <span style='color:blue;'>눈물소관에 관류 바늘을 삽입하여 식염수를 주입</span>하면서 아래코선반 아래에 면봉을 위치시키거나 코를 통해 흘러 나오는 관류액을 받아서 검사한다. == 결과의 해석 == * 역류 없이 눈물길을 통과하고, 받아진 관류액에서 염색약이 검출 : 코눈물관에 부분 협착이나 기능적 폐쇄가 있음을 의미한다. 기능적 폐쇄는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의 적응증이 될 수 있다. * 염색약이 없는 맑은 관류액이 코에서 나옴 : 눈물점이나 눈물소관과 눈물주머니 사이의 연결 부위, 즉 <span style='color:blue;'>로젠뮬러 밸브의 이상</span> 때문에 염색약이 눈물주머니까지 들어가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관류용 바늘을 사용하면 이러한 협착이나 이상이 있는 부위를 통과해 눈물주머니까지 들어간 다음 관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염색약이 없는 맑은 관류액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협착 정도에 따라 실리콘관이나 Jones관을 삽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 관류액이 코로 내려가지 않고 반대쪽 눈물점으로 역류 : 눈물주머니나 눈물주머니 아래쪽의 폐쇄를 의심해야 하며, 치료로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을 시행해야 한다. * 관류액이 삽입한 관류바늘 주위로 역류되어 나오고, 반대쪽 눈물점이나 코로 내려가지 않음 : 그쪽 눈물소관 또는 공통 눈물소관의 폐쇄를 의심해야 한다. 만약 반대쪽 눈물소관을 통하여 관류를 하였는데도 역류되어 나오면 치료로 Jones관을 삽입하는 결막-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을 시행해야 한다. 아래눈물소관은 막혔지만 위눈물소관을 통한 관류는 된다면 환자가 눈물을 흘린다고 호소하는 것을 다시 한 번 평가해봐야 하는데,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아래눈물소관이 기능을 못하더라도 위눈물소관을 통해 충분히 눈물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존스 이차 염색 검사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존스 이차 염색 검사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