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스 이차 염색 검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존스 이차 염색 검사 (Jones test II)
검사 방법
존스 일차 염색 검사 후 우선 결막낭에 남아있는 염색약을 세척해내고 아래 눈물점을 통하여 눈물소관에 관류 바늘을 삽입하여 식염수를 주입하면서 아래코선반 아래에 면봉을 위치시키거나 코를 통해 흘러 나오는 관류액을 받아서 검사한다.
결과의 해석
- 역류 없이 눈물길을 통과하고, 받아진 관류액에서 염색약이 검출 : 코눈물관에 부분 협착이나 기능적 폐쇄가 있음을 의미한다. 기능적 폐쇄는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의 적응증이 될 수 있다.
- 염색약이 없는 맑은 관류액이 코에서 나옴 : 눈물점이나 눈물소관과 눈물주머니 사이의 연결 부위, 즉 로젠뮬러 밸브의 이상 때문에 염색약이 눈물주머니까지 들어가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관류용 바늘을 사용하면 이러한 협착이나 이상이 있는 부위를 통과해 눈물주머니까지 들어간 다음 관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염색약이 없는 맑은 관류액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협착 정도에 따라 실리콘관이나 Jones관을 삽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 관류액이 코로 내려가지 않고 반대쪽 눈물점으로 역류 : 눈물주머니나 눈물주머니 아래쪽의 폐쇄를 의심해야 하며, 치료로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을 시행해야 한다.
- 관류액이 삽입한 관류바늘 주위로 역류되어 나오고, 반대쪽 눈물점이나 코로 내려가지 않음 : 그쪽 눈물소관 또는 공통 눈물소관의 폐쇄를 의심해야 한다. 만약 반대쪽 눈물소관을 통하여 관류를 하였는데도 역류되어 나오면 치료로 Jones관을 삽입하는 결막-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을 시행해야 한다. 아래눈물소관은 막혔지만 위눈물소관을 통한 관류는 된다면 환자가 눈물을 흘린다고 호소하는 것을 다시 한 번 평가해봐야 하는데,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아래눈물소관이 기능을 못하더라도 위눈물소관을 통해 충분히 눈물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