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반사 눈물 분비 저하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반사 눈물 분비 저하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반사 눈물 분비 저하 (reflex hyposecretion) 는 눈을 뜨고 있으면 안구 표면이 노출되고 반사적 감각 자극을 증가시켜 눈물 분비가 많아진다. 이때 안구 표면에서 감각 원동력이 줄어들면, 첫째, 반사에 의한 눈물 분비가 줄게 되고, 둘째, 눈깜박임 횟수가 줄게 되어 눈물 증발이 많아져 건성안이 발생하게 된다. 양안에 국소마취제인 proparacaine을 점안하면 눈깜박임이 30% 줄고 눈물 분비는 60~75%가 줄게 된다. == 원인 == * 당뇨병 : Goebbels 등은 인슐린 의존성 당뇨 환자에서 반사 눈물 분비가 줄어든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러한 연관성은 당뇨에 의한 자율신경병증과 눈물샘의 미세혈관장애에 의해 발생한다. * 신경영양 각막염 : 각막과 결막을 침범하는 감각지각 저하에 의해 발생하며, 눈 대상포진이나 3차신경 손상(수술, 종양, 압박, 독소 등)이 원인이다. 이로 인해 건성안, 눈물막의 불안정성, 점상 각막염, 술잔세포 손상, 각막기질 궤양이 나타나고, 심하면 각막천공까지 발생한다. 감각신경이 손상되어 반사눈물 분비와 눈깜박임 횟수가 줄어들며, substance P의 분비와 신경성장인자의 발현이 줄어 감각신경 제거 후 안구 표면에 대한 영양 공급이 줄어들게 된다.
반사 눈물 분비 저하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반사 눈물 분비 저하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