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상염색체 우성 선천 유전 내피 이상증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상염색체 우성 선천 유전 내피 이상증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상염색체 우성 선천 유전 내피 이상증 (autosomal dominant congenital hereditary endothelial dystrophy 1; CHED1) == 역학 == 매우 드문 질환이다. == 유전 == 20번 염색체(20p11.2-q11.2)의 VSX1 유전자 이상이 보고되었으나, 이러한 이상이 어떠한 병적인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 증상 == 각막 혼탁이 발생하기 전에 광시증과 눈물 흘림이 동반될 수 있는데 혼탁이 진행되면 광시증이나 눈물흘림은 오히려 줄고, 시력은 20/60에서 20/400 정도로 상염색체 열성 유전을 하는 경우보다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임상 소견 == 각막 혼탁은 출생 시에는 나타나지 않고 생후 1~2년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진행하지 않거나 서서히 진행하고 종종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 각막 혼탁은 간유리나 우유빛으로 보이고, 각막의 두께가 증가한다. == 감별 진단 == [[후부 다형 각막 이상증]]보다는 증상이 심하며, 데스메막의 이상은 비슷한 소견을 보이지만 내피세포의 감소가 매우 심하다.
상염색체 우성 선천 유전 내피 이상증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상염색체 우성 선천 유전 내피 이상증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