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양성 시신경 교종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양성 시신경 교종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양성 시신경 교종 (benign optic nerve glioma)'''{{신경안과}} 은 등급 1인 털모양 성상세포종 (pilocytic astrocytoma) 이다. == 역학 == 일반적으로는 잘 전이하지 않고 서서히 커지는 양성 종양이다. 대부분이 10세 미만의 소아에서 발생하며, 여자에게서 약간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ref>Avery RA et al. Longitudinal Change of Circumpapillary RNFLT in Children with Optic Pathway Gliomas. ''AJO''. 2015 Nov;160(5):944-952.e1. [https://pubmed.ncbi.nlm.nih.gov/26231306/ 연결]</ref>. 특히 1형 신경섬유종증 (neurofibromatosis, NF) 을 가진 소아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2~9세의 NF를 가진 소아의 15%가 시신경교종을 가지고 있으며, 역으로 시신경교종을 가진 소아의 20~50%가 NF를 갖는다<ref name=r3>Miller NR et al. Walsh and Hoyt's Clinical Neuro-Ophthalmology : The Essentials, 3rd ed. Philadelphia :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5; 161-179</ref>. 따라서 시신경 교종 환자에서는 NF 동반 여부를 감별하기 위해 홍채의 리쉬 결절이나 피부의 담갈색 반점을 확인해야 한다. == 임상 소견 == 종양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안와 내에 위치하면 시력 저하와 함께 무통성의 안구 돌출을 일으키는데, 처음에는 축성 돌출을 일으키지만 종양이 커짐에 따라 외하방으로 안구가 처지게 된다. 그러나 시신경 교차에 발생하는 경우 안구 돌출 없이 시력이나 시야 장애를 호소할 수 있다<ref name=r3 />. 시신경 부종은 주로 안와내 종양 환자에서 볼 수 있다. 시신경 교차 병변에서 부종이 나타나는 때도 있는데, 이 때는 종양이 안와내 시신경까지 퍼진 경우이다. 종양이 시신경에 국한된 경우에는 내분비학적 이상이 발생하지 않으나, 시상하부를 침범하거나 시각 교차 부위에서 돌출성으로 자라서 뇌하수체에 영얗을 미치게 되면 조발 사춘기, 요붕증, 범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왜소증과 같은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신경안과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양성 시신경 교종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양성 시신경 교종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