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외사시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외사시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외사시 (exotropia; XT)'''{{사시}} == 빈도 == 서양에서 빈도가 높은 [[내사시]]에 비해, 외사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 중동 지방, 아프리카에서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라 등에 의하면 전국 취학 연령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시 빈도 조사에서 9,054명 중 322명 (3.56%) 이 사시였고, 그 중 262명 (81.4%) 은 외사시, 60명 (18.6%) 은 내사시였다. 2002년에 발표된 홍콩에서의 연구를 보면, 홍콩계 중국인을 대상으로 2,704명의 원발 수평 사시 환자 중 742명 (27.4%) 은 내사시, 548명 (20.3%) 은 불변 외사시, 1,213명 (44.9%) 은 [[간헐 외사시]], 201명 (7.4%) 은 미세 사시였다. 내사시에 대한 외사시의 상대적 비율도 10년 전에 비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한국 사시 소아안과 학회는 종합병원에 내원한 환자를 기초로 한 전국적인 사시 유병율을 조사하였는데, 0.63% 로 나타났다. == 유전 == 6개의 기관에서 45쌍의 쌍둥이와 3쌍의 세 쌍둥이, 1쌍의 네 쌍둥이를 대상으로 사시 표현 양상을 조사해본 결과, 일란성에서는 82.4%, 이란성에서는 47.6%의 일치율을 보였으며, 특히 조절 내사시와 [[간헐 외사시]]에서 높은 표현 일치율을 보여 두 사시에서의 유전적 요인을 예측해볼 수 있다. 국내 연구에서도 일란성 쌍둥이 39쌍을 대상으로 사시 유형별 일치율을 조사하였는데, [[간헐 외사시]]는 21쌍 중 15쌍 (71%) 에서 일치했다. 일란성 쌍둥이에서 모두 발현된 사시의 경우 형태 뿐 아니라 발현 시기, 사시각, 입체시, 수술 결과와 재발 성향도 아주 흡사하였다. 그러나 일란성 쌍둥이에서도 사시 발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사시 발현에 유전적 요인 외에 따른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함을 알 수 있다. == 분류<ref>Burian HM. Exodeviations : their classific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AJO''. 1966 Dec;62(6):1161-6. [https://pubmed.ncbi.nlm.nih.gov/5957892/ 연결]</ref> == * 눈벌림 과다 (divergence excess) : 원거리 사시각이 근거리 사시각에 비해 15 프리즘 디옵터 (PD) 이상 크다. * 기본 (basic) : 원거리와 근거리의 사시각 차이가 10 PD 이내로 비슷하다. * [[눈모음 부족 외사시|눈모음 부족]] (convergence insufficiency) : 근거리 사시각이 원거리 사시각에 비해 15 PD 이상 크다. * 거짓 눈벌림 과다 (pseudo-divergence excess) : 원거리 사시각이 근거리 사시각에 비해 의미있게 크지만, 특수 검사를 하면 비슷하다. == 종류 == * [[영아 외사시]] * [[간헐 외사시]] {{참고|사시}}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사시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외사시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외사시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