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면화반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면화반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면화반 (cotton wool spot; CWS) 은 연성 심출물 (soft exudate) 또는 신경섬유층 경색 등으로도 불리며, 망막 세동맥의 폐쇄에 의해 발생한다. == 원인 == * 당뇨 : 당뇨가 없는훤자에서 안저에 변화반이 관찰되는 경우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당뇨 망막병증(20%)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 후천 면역결핍 증후군 : AIDS 환자의 50~70%에서 발견되며 망막혈관 내 면역 복합체의 침착이 원인으로 여겨진다. * 고혈압 : 이완기 혈압이 110~115 mmHg을 넘지 않으면 면화반이 드물게 발생하므로 혈압을 가장 먼저 측정하여야 한다. == 증상 == 보통 시력 저하를 유발하지 않지만, 많은 경우 시야에 떠다니는 점을 보았다는 병력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 임상 소견 == 안저에서 희거나 노란색을 띠고 경계가 모호한 깃털 모양의 망막표층 병변으로 관찰된다. 허혈에 의해 신경섬유층 내의 축삭형질 이동이 막혀서 축삭 내 세포기관들이 축적되어 발생한다. == 검사 및 진단 == * FA : 국소적인 모세혈관 비관류 부위와 일치한다. == 경과 == 대개 5~7주 안에 흡수되며, 당뇨가 있는 경우 흡수되는 데 보다 오랜 시간이 걸린다. 흡수 후 신경섬유층의 위축으로 약간 함몰되어 표면이 주위와 다른 느낌을 준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면화반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면화반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