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지속 각막상피 결손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지속 각막상피 결손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지속 각막상피 결손 (persistent epithelial defects, PED)''' 은 표준적인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고 14일 이상 지속되는 각막상피 결손을 말한다<ref>Vaidyanathan U et al. Persistent Corneal Epithelial Defects : A Review Article. ''Med Hypothesis Discov Innov Ophthalmol''. 2019 Fall;8(3):163-176. [https://pubmed.ncbi.nlm.nih.gov/31598519/ 연결]</ref>. 치료에 반응을 하지 않으면 각막염, 각막 혼탁, 각막 궤양, 천공 등으로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난치성 질환 중의 하나이다. == 병인 == 각막 상피의 전층 소실이 발생한 후, 잔여 각막 상피세포 또는 각막 윤부 줄기세포에 의하여 각막의 재상피화가 일어나지 않아 정상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없을 때 나타난다<ref>남정우 등, 난치성 지속 각막상피 결손에서 양막 추출물 점안액의 임상 효과, ''한안지'' 2021;62(10):1340-1347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508 연결]</ref>. == 원인 == 각막 찰과상과 수술 등 각막에 발생하는 외상, [[건성안]], 노출 각막염, [[신경영양 각막염]], 감염 각막염 이후에 발생한 각막 궤양 그리고 당뇨와 같은 전신 질환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지속 각막상피 결손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지속 각막상피 결손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