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전방각 광응고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전방각 광응고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전방각 광응고 (goniophotocoagulation; GPC) 은 Simmons 등이 [[신생혈관 녹내장]] 환자에서 전방각이 비교적 넓은 초기에 시도하였다. 이 시술의 목적은 전방각의 신생혈관을 직접 광응고시켜 제거하는 것이다. == 적응증 == <span style='color:blue;'>녹내장 발생 전 또는 신생혈관 형성 시기에 가장 효과적</span>인데 전방각에 계속 신생혈관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방각 폐쇄와 치료가 어려운 녹내장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이다.<br />[[범망막 광응고술]]이 성공적이지 못하거나 망막 치료가 불가능할 때 시도해볼 수 있으며, 망막 치료가 필요할 때는 범망막 광응고와 함께 시술한다. == 과정 또는 용법 == 섬유주 위로 뻗어나는 <span style='color:blue;'>신생혈관이 공막 돌기를 지나는 위치</span>에 아르곤 레이저를 조사한다. 보통 레이저 설정은 0.2초의 노출 시간, 150㎛의 spot size로 신생 혈관이 하얗게 되고, 수축되게 출력으 조정한다(보통 100~800mW). 섬모체띠를 지난 직후의 공막 돌기에 노출된 주혈관을 대상으로 하고 섬유주의 혈관은 피해야 한다. == 부작용 및 합병증 == 더 진행된 경우인 신생 혈관이 생긴 개방각 녹내장 형태의 신생혈관 녹내장 때는 출혈이 일어날 수 있고 전방각 폐쇄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심해서 시술해야 한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녹내장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전방각 광응고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전방각 광응고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