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부분층 황반원공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부분층 황반원공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부분층 황반원공 (lamellar macular hole; lamellar MH)'''{{망막}} == 병태 생리 == Gass는 [[낭포 황반부종]]의 낭포가 파열되면서 생성된다고 하였다. 근래에는 황반 원공이 발생하던 중 퇴행하거나<ref>Haouchine B et al. Foveal pseudocyst as the first step in MH formation : a prospective study by OCT. ''Ophthalmology''. 2001 Jan;108(1):15-22. [https://pubmed.ncbi.nlm.nih.gov/11150257/ 연결]</ref>, [[망막앞막]] (ERM) 이 위축되면서 중심와가 얇아지는 경우도 포함한다<ref>Witkin AJ et al. Redefining lamellar holes and the VM interface : an ultrahigh-resolution OCT study. ''Ophthalmology''. 2006 Mar;113(3):388-97. [https://pubmed.ncbi.nlm.nih.gov/16513456/ 연결]</ref>. == 관련 질환 == * [[망막앞막|ERM]] : 30%에서 동반되며, 일반적으로 심하게 수축하는 모습을 보이지는 않는다<ref>Gaudric A et al. MPHs w lamellar cleavage of their edge remain pseudoholes. ''AJO''. 2013 Apr;155(4):733-42, 742.e1-4. [https://pubmed.ncbi.nlm.nih.gov/23312734/ 연결]</ref>. == 조직병리 == 병변의 가장자리에 유리체 피질의 견인력이 남아있거나 [[망막앞막|ERM]]이 관찰되기도 한다. == 임상 소견 == 동그란 모양보다는 2~3개의 소엽으로 관찰되며, 병변의 주변부 망막이 두껍게 융기되지 않고 얇아져 있다는 점에서 [[특발성 황반 원공]]과 구분이 가능하다. Watzke-Allen 검사는 음성이다. * OCT : 중심와 내측 망막의 결손이 발생하고 병변 바닥이 불규칙하게 얇아지는 모습을 보이며, 병변 가장자리 망막내층과 외층 사이가 갈라지는 틈이 관찰되곤 한다<ref>Haouchine B et al. Diagnosis of MPHs and lamellar macular holes by OCT. ''AJO''. 2004 Nov;138(5):732-9. [https://pubmed.ncbi.nlm.nih.gov/15531306/ 연결]</ref>.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부분층 황반원공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부분층 황반원공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