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밀러 피셔 증후군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밀러 피셔 증후군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밀러 피셔 증후군 (Miller Fisher syndrome; MFS)</b> 은 "길랑-바레 증후군의 국소 변형으로 조화운동못함증(ataxia), 건반사가 소실되는 무반사(areflexia), 눈근육 마비(ophthalmoplegia)의 세 징후가 특징이다. 1932년 Collier가 처음으로 세 징후를 기술하였으며, 1956년 Miller Fisher가 3명의 환자를 독립된 증후군으로 기술한 잉래 말초 신경병증이 뚜렷하지 않고 위 세 징후가 있는 경우들이 보고되어 왔다. == 역학 == 남녀비는 2:1 정도로 <span style='color:blue;'>남자</span>가 많고 평균 발생 연령은 <span style='color:blue;'>43.6세</span>(14개월~80세)이며 어린이에서도 보고되었다. 대부분 호흡기나 위장관 바이러스 감염 후 증세가 나타나며, 약 72%에서 평균 바이러스 감염 10일 후 나타난다. == 원인 == * <span style='color:blue;'>항GQ1b 항체</span> * 감염과 관련 : 길랑-바레 증후군과 마찬가지로 72%에서 평균 10일 전 감염이 있다. == 임상 소견 == - 첫 증상 : 복시(39%)나 조화운동못함증(21%)이고 82%가 무반사를 보인다. * 눈꺼풀 처짐 : 나타나는 경우 눈운동 장애보다 일찍 나타나고 먼저 회복된다. 위로 볼 때 눈꺼풀 후퇴가 있을 수 있다. * 눈운동 장애 : 대개 양쪽 같이 오는데 상전 장애가 먼저, 이어 수평 운동 장애, 마지막으로 하전 장애가 생긴다. 대개 회복은 반대 순서로 하전 장애부터 좋아진다. 정도는 일정하지 않고 수평 주시 마비, Parinaud 증후군 == 검사 및 진단 == * 항GQ1b 항체 검사 : 눈근육 마비에서 특히 많이 나타나므로 눈근육 마비를 일으키는 다른 질환과 감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임상 양상의 심한 정도가 항GQ1b 항체 역가가 관련이 있으므로 예후를 아는데 도움될 수 있다. * 뇌척수액 검사 : 단백질 수치가 증가되기도 하며(64.4%) 가벼운 백혈구 증가나 세포 반응은 없으면서 단백치는 올라가는 단백-세포 해리가 나타나기도 하나 정상일 수도 있다. * 근육이나 신경 전기 생리학적 == 감별 진단 == * 근긴장 이영양증 * [[중증 근무력증]] * 보툴리누스 중독 (botulism) * [[만성 진행성 외안근 마비]] * 부신생물 증후군 * 전신 홍반 루푸스 * abetalipoproteinemia (Bassen-Kornzweig 증후군) * 베르니케 뇌병증 (Wernicke's encephalopathy) * 진드기 마비 * 급성 염증성 말이집 탈락 다발 신 == 비수술적 치료 == * 경과 관찰 * 정맥 내 면역 글로불린 투여 * 혈장 교환 : 중추 신경계를 포함하는 경우 항GQ1b 항체를 제거하여 심각한 신경학적 이상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될 수 있다. * Tryptophan-immobilized column 면역 흡착 (immunoadsorption) == 예후 및 합병증 == 예후는 비교적 좋아 3주 후 회복되기 시작하여 <span style='color:blue;'>평균 10주에 걸쳐 좋아지고</span>, 6개월 정도면 완전히 회복되나 마비가 일부 남기도 한다. 33%에서는 어느 정도 증상이 남고 재발하는 경우도 있으며 사망하기도 한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신경안과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밀러 피셔 증후군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밀러 피셔 증후군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