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굴절 다초점 인공수정체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굴절 다초점 인공수정체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굴절 다초점 인공수정체 (refractive multifocal intraocular lens; refractive mfIOL) 는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진 2~5개의 고리 모양 굴절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굴절면은 굴절력이 서로 달라 근거리와 원거리, 중간 거리에 두 개 이상의 초점을 형성한다. == 장점 == [[회절 다초점 인공 수정체]]와 달리 빛의 소실이 거의 없다. == 단점 == 초기에는 광학부가 두 개의 굴절면으로 되어 있어 동공의 크기에 따라 이중 초점 인공수정체의 효과에 변화가 심했다. 동공의 크기가 줄어들면 주변부 광학부가 가려지면서 단초점 렌즈로 변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여러 개의 고리로 된 굴절면을 가지고 있어 동공 크기에 따른 초점 효과의 변화가 줄어들었다. == 수술 시 주의 == 수술 후 인공수정체 편위 시 다초점의 효과가 감소하므로 수술 시 정위치에 삽입하는 것이 중요하며, 수술 중 후낭 파열 등의 문제가 생긴 경우 삼체형 인공수정체인 ZMA00, ReZoom을 삽입하는 것이 좋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백내장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굴절 다초점 인공수정체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굴절 다초점 인공수정체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