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산소 투과 콘택트렌즈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산소 투과 콘택트렌즈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산소 투과 콘택트렌즈 (rigid gas permeable contact lens; RGP lens)</b> == 재질 == * 폴리스티렌 (polystyrene) : 80년대에 도입된 이 렌즈 재질은 비중이 낮아 가볍지만 강한 특성을 갖고 있어 렌즈 굴곡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주변부는 소프트 렌즈 재질 이며 중심부는 RGP 렌즈 재질로 이루어진 시바비전 사의 Soft Perm 렌즈는 중심부 RGP 렌즈의 재질로 폴리스티렌을 사용한다. 이 렌즈는 초기 착용감이 좋고, 난시 교정 효과 및 렌즈 정럴이 좋아 원추 각막, 각막 외상 등으로 인해 부정 난시가 있는 경우에 좋지만 가격이 비싸고, 중심 RGP 렌즈와 주변 소프트렌즈 경계 부위가 잘 찢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 silicone elastomer : 바슈롬 사의 Silsoft 렌즈에 사용된 재질로 산소 투과성이 340이나 되지만 소수성이 커 건조감이 심하고, 점액질이 잘 달라붙으며, 각막에 렌즈가 붙어버리는 경우가 흔하여 소아 무수정체안에 드물게 사용될 수는 있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참고|콘택트렌즈}}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산소 투과 콘택트렌즈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산소 투과 콘택트렌즈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