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펜타캠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펜타캠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펜타캠 (pentacam) == 결과의 해석 == === Belin / Ambrósio Enhanced Ectasia Display === ==== pachymetric progression ==== 1.6 SD 미만이면 흰색, 이상이면 노란색, 2.6 SD 이상이면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 Df (front) * Db (back) * Dp (pach progression) * Dt (thinnest value) * Da (thinnest displacement) * D : 상기 다섯 변수의 종합적 결과 === Topometric/KC-Staging === * ISV (index of surface variance) : 22 (0.80) * IVA (index of vertical asymmetry) : 0.14 (0.86) * KI (keratoconus index) * CKI (central keratoconus index) * IHA (index of height asymmetry) * IHD (index of height decentration) * RMin (minimum sagittal curvature) * TKC (topographical keratoconus classification) {{참고|각막|안과검사}} # Interpretation guideline 3rd ed. of pentacam # Hashemi H, et al. Pentacam top indices for diagnosing subclinical and definite keratoconus. J Curr Ophthalmol. 2016;28(1):21-26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막
(
원본 보기
)
틀:안과검사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펜타캠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펜타캠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