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결막하 출혈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결막하 출혈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결막하 출혈 (subconjuntival hemorrhage; SCH)</b> == 치료 == 일반적으로 특정한 심각한 상태와 관련이 없으면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혈액은 유출된 양에 따라 일반적으로 1~2주에 걸쳐 흡수된다. 환자가 항응공제를 복용하는 경우 3주까지 걸릴 수 있다. 조직의 부종을 최소화하고 불편함을 완화시키기 위해 얼음 주머니와 인공 눈물을 사용할 수 있다.{{br}}결막하 출혈이 외상에 의해 발생하였거나, 안구내 또는 추가적인 망막 출혈이 의심되는 경우 긴급한 안과 상담이 필요하다. 희석된 [[브리모니딘]]과 oxymetazoline은 환자에게 편안함을 주고, 유리체강내 주사 후 결막하 출혈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예후 == 결막하 출혈은 호전 후 좋은 시력 예후를 보인다. 자발적 출혈의 재발률은 확인된 위험 인자가 없으면 약 10% 이고, 항응고제 또는 항혈소판 치료를 받는 경우 더 높아질 수 있다. == 합병증 == 대부분의 경우 2주 내에 호전되므로 합병증은 없다. 그러나 결막하 출혈은 그 자체로 응고병증, 심한 천식 악화, 우발적 외상 또는 심한 안과 외상과 같은 기저의 위험한 질환의 징후일 수 있다. {{참고}} # Doshi R, et al. Subconjunctival Hemorrhage. In: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August 10, 2020 [https://pubmed.ncbi.nlm.nih.gov/31869130/ 연결]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Br
(
원본 보기
)
틀:각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결막하 출혈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결막하 출혈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