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포도막염 녹내장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포도막염 녹내장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포도막염에 의한 녹내장 (uveitic glaucoma)'''{{녹내장}} 은 일반적으로 안염증이 있을 때에는 방수의 생산이 줄어 안압이 하강하지만 방수 유출률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방수의 생산이 줄어도 안압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안염증이 방수의 생산과 유출 두 곳에 모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안압이 높을 때와 낮을 때의 안압 변동차가 상당히 크므로 가끔씩 측정하는 몇 번의 안압 측정만으로는 녹내장 진단을 놓칠 수도 있다. == 역학 == 어떤 종류의 안염증에서도 안압 상승은 나타날 수 있지만, 급성보다는 만성 염증 때 더 잘 나타나며 대체적으로 포도막염 환자의 약 10%에서 안압 상승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 발생 기전 == * 개방각 기전 : 방수의 점도 증가, 염즈 세포나 그 잔유물로 인한 방수 유출로 장애, 섬유주의 부종 및 기능 장애, 방수 유출로의 반흔 형성, 전방각의 각피화된 상피 형성, [[상공막 정맥압]] 상승, 스테로이드 치료의 영향 등 * 폐쇄각 기전 : 수정체-홍채 격막의 전방 이동, 동공 차단, [[주변 홍채앞 유착]] 형성, 신생혈관 형성 등 == 레이저 및 수술 치료 == [[아르곤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은 급성 염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효과가 없으나 염증이 소실됐거나 염증 후에 생긴 녹내장에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급성 염증 때에는 수술을 피해야 하지만 여과 수술이 필요할 경우는 수술 전에 스테로이드의 점안이나 전신 투여로 염증을 최소한 줄여야 한다. 수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5-fluorouracil]]이나 [[mitomycin C]] 등을 [[섬유주 절제술]]에 병용하기도 하며 [[방수 유출 장치]] 수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섬모체 파괴술도 이용될 수 있는데, 수술 자체가 염증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점과 안염증에 의해 섬모체 기능 이상이 이미 존재할 수 있으므로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녹내장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포도막염 녹내장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포도막염 녹내장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