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각막 켈로이드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각막 켈로이드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각막 켈로이드 (corneal keloid)'''{{각막}} 는 임상적으로 [[잘쯔만 결절 변성]] (SND) 과 유사해보일 수 있는 드문 질환이다. == 역학 == 선행 안질환이 없으면 드물게 나타나며, [[잘쯔만 결절 변성|SND]]군에 비해 어린 나이에서 발생하고 남성에서 좀 더 흔하다. == 원인 == 외상이나 만성 안구 표면 염증이 나타난 이후 발생한다. Lowe 증후군<ref>Cibis GW et al. Corneal keloid in Lowe's syndrome. ''Arch Ophthalmol''. 1982 Nov;100(11):1795-9. [https://pubmed.ncbi.nlm.nih.gov/7138348/ 연결]</ref>과 연관 있으며, Rubinstein-Taybi 증후군<ref>Rao SK et al. Bilateral congenital corneal keloids and AS mesenchymal dysgenesis in a case of Rubinstein-Taybi syndrome. ''Cornea''. 2002 Jan;21(1):126-30. [https://pubmed.ncbi.nlm.nih.gov/11805525/ 연결]</ref>에서 선천성으로 발견될 수 있다. == 임상 양상 == 결절은 흰색이며 표재성이지만 심부 기질로 침범하기도 하며, 임상적으로 사라지지 않고 초기 경계 밖으로 커질 수 있다. 이 때 자극김이나 시력 저하가 유발될 수 있다. == 조직 병리 == 유리질화 아교질 섬유 사이에서 섬유모세포 증식이 관찰되며, 섬유모세포는 근섬유모세포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보우만층은 분절되거나 소실된다. 소견은 켈로이드의 단계에 따라 다양하다. * 초기 : 3형 아교질, 근섬유모세포, 신생혈관이 풍부하다. * 후기 : 적은 수의 근섬유모세포와 혈관 퇴행, 무질서하게 배열된 1형 아교질 다발이 관찰된다<ref>Risco JM et al. A case of corneal keloid : clinical, surgical, pathological, and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BJO''. 1994 Jul;78(7):568-71. [https://pubmed.ncbi.nlm.nih.gov/7918270/ 연결]</ref>. == 치료 == 증상이 있는 경우에 국한하여 치료를 시행하며, 표면 각막 절제술, 표층/[[전층 각막 이식]]을 시력 장애 정도에 따라 실시한다. 재발률에 관한 연구 결과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스테로이드 점안약을 사용하면 재발 진행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 {{각결막 변성}}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결막 변성
(
원본 보기
)
틀:각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각막 켈로이드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각막 켈로이드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