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결막 낭종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결막 낭종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결막 낭종 (conjunctival cyst) == 원인 == * 선천적 * 후천적 : 염증이나 [[봄철 각결막염]] 후 염증 반응,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외상 후, 수술적 결막하 상피 이식에 의해 나타나고 선천적 낭종보다 흔하다. == 임상 양상 == 일반적으로 거의 커지지 않고 안정적이며, 각막 내에 위치한 경우 각막 내 [[가성 전방축농]]을 보일 수 있다. 안와의 원발 결막 낭종은 안와의 상비측 사분역에 가장 자주 생기는 반면 안와의 피부 낭종과 표피 모양 낭종은 상이측 사분역에 가장 많이 생긴다. == 조직학 == 낭종은 비각질화된 결막 상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술잔 세포가 존재한다. 중심부는 세포 조직 파편과 염증 세포를 함유하고 있다. 만약 두 층의 입방 상피(cuboidal epithelium)가 존재한다면, 낭종은 관에서 기원한 것이다. 각막의 천공성 병변에서 드물게 각막 기질층 내의 낭종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각막 기질 내에 상피세포가 착상된 것이다. == 치료 == 단순 절제로 치료한다. tryptan blue 또는 [[인도시아닌 그린]]과 같은 염색약을 수술 전에 주입하면 낭종이 더 잘 보인다. 안구 적출술을 받은 환자에 생긴 안와의 결막 낭종은 20% 삼염화아세트산 용액을 병변 내로 주입하여 치료할 수 있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결막 낭종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결막 낭종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