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공막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공막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공막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 (transscleral cyclophotocoagulation; TSCPC) == 역사 == 1961년 Weeker 등은 Xenon arc 레이저로 공막을 경유해서 섬모체를 광응고 시켰다. 1969년 Vucicevic 등은 가토에서 루비 레이저와 레이저의 조직 흡수를 향상시키는 세포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공막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을 하였다. 1984년 Beckman과 Waeltermann 의 보고에 따르면 241안을 공막 경유 루비 레이저 섬모체 광응고술로 치료한 결과 10년 동안 전체적으로 62%에서 안압이 조절되었으며 무수정체 녹내장안의 86%, [[신생혈관 녹내장]]의 53%에서 안압이 조절되었다고 한다. 또 대부분의 환자가 수술 전 시력을 유지하였으나 41안에서 만성 저안압증, 17안에서 안구 위축이 있었다. 특별히 고안된 Nd:YAG 레이저가 나온 다음부터 공막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 레이저의 종류 == * Nd:YAG 레이저 : pulsed free-running, thermal mode와 continuous-wave mode 이고 에너지 전달 방법은 세극등을 이용한 비접촉 전달 방법과, fiberoptic probe를 이용한 접촉 전달 방법의 두 가지가 있다. * 아르곤 * 크립톤 레이저 * semiconductor diode laser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녹내장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공막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공막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