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오타 모반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오타 모반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오타 모반 (nevus of Ota)'''{{각막}} 은 안와 주위 피부와 안구에 청색 또는 갈색의 색소 침착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성 병변이다<ref>김민지 등, 오타 모반에서 동반된 시신경 유두 색소 침착 1예, ''한안지'' 2022;63(12):1046-1051.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701 연결]</ref>. == 역학 == 주로 편측에 생기고 동양인에 많고 특히 여성에서 자주 관찰된다<ref name=r3>Ota M. Nevus fusco-caeruleus ophthalmo-maxillaris. ''Jpn J Dermatol'' 1939;46:369.</ref>. == 원인 ==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신경능선세포의 이상 이동 또는 분화 이상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ref>Benson MT et al. Hemi-naevus of Ota : perturbation of neural crest differentiation as a likely mechanism.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2;230(3):226-9. [https://pubmed.ncbi.nlm.nih.gov/1597286/ 연결]</ref>. == 임상 소견 == 안구에서는 주로 공막, 결막, 홍채 및 맥락막에 색소 침착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 name=r3 />.Gonder 등<ref>Gonder JR et al. Ocular and oculodermal melanocytosis. ''Can J Ophthalmol''. 1985 Aug;20(5):176-8. [https://pubmed.ncbi.nlm.nih.gov/4041981/ 연결]</ref>에 따르면 안구에 병변이 있는 오타모반 환자 중 100%에서 공막과 맥락막에 색소 침착이 있었고, 89%에서 전방각 및 홍채에, 10%에서 결막에, 그리고 5%에서 수정체에 색소 침착이 있었다. === 시신경 유두 색소 침착 === 시신경 유두의 색소 침착은 드물게 증례 보고가 있었다. 일본에서 Kono 등<ref>Kono T et al. Ocular findings in Japanese women w nevus of Ota.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5 Nov;233(11):667-71. [https://pubmed.ncbi.nlm.nih.gov/8566821/ 연결]</ref>이 발표한 오타 모반 환자 16명 중 3명이 오타 모반이 있는 눈에서만 편측성으로 시신경 유두에 회색 빛으로 색소 침착을 보였다. 인도에서는 Gupta 등<ref>Gupta GP et al. Naevus of Ota. ''BJO''. 1965 Jul;49(7):364-8. [https://pubmed.ncbi.nlm.nih.gov/5828913/ 연결]</ref> 또한 오타 모반이 있는 눈에서만 관찰되는 진한 갈색의 홍채 색소 침착 및 짙은 회색 빛의 시신경유두 색소 침착 증례 2예를 보고하였다. Mishima 등<ref>Mishima Y et al. Nevus Ota and nevus Ito in American Negroes. ''J Invest Dermatol''. 1961 Feb;36:133-54. [https://pubmed.ncbi.nlm.nih.gov/13771275/ 연결]</ref>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에서 오타 모반이 있는 눈의 어두운 갈색의 홍채와 시신경 유두 색소 침착 증례 2예를 보고하였다. 특징적으로, 공막이나 피부의 점은 청회색 (blue gray color) 으로 주로 기술되는데, 시신경에 색소가 침착된 경우는 주로 회색 (gray color) 혹은 청회색 (blue gray) 으로 모두 보고되었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오타 모반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오타 모반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