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광범위 망막하 섬유증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광범위 망막하 섬유증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광범위 망막하 섬유증 (diffuse subretinal fibrosis; DSF) " == 역학 == <span style='color:blue;'>근시를 가진 젊고 건강한 여자</span>에서 흔히 발생하며 양안성이지만 비대칭적이어서 증상은 주로 단안에 나타난다. == 증상 == 주증상은 단안의 시력 감소, 유리체 부유물, 중심 암점, 변형시, 광시증 등이다. == 임상 소견 == 경도의 앞포도막염과 유리체염을 관찰할 수 있으며, 안저 검사 상 <span style='color:blue;'>후극부에서 100~500㎛ 크기의 여러 개의 황색 병변</span>이 관찰되며 망막하층, 망막 색소상피, 맥락막 모세혈관에 위치하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 병변들이 합쳐지며 황색의 탁한 [[망막하액]]이 생기기 시작하며, 감각신경하 망막 박리와 함께 곧 이어 망막하 섬유증이 발생한다. 이런 것들이 반복되면서 섬유증은 점점 심해지고 결과적으로 심한 반흔과 함께 시력 저하를 초래한다. == 검사 및 진단 == * FA : 초기에는 과형광 및 후기 누출을 보이며, 누출은 염증이 심하거나 [[맥락막 혈관 신생]]이 있을 경우 심해진다. 망막하 섬유증이 있으면 후기 염색이 보인다. == 비수술적 치료 == 스테로이드는 염증과 망막하액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일단 망막하 섬유증이 발생하면 시력 예후는 좋지 않으며 스테로이드 치료도 큰 효과가 없다. 그리하여 치료는 조기 진단과 <span style='color:blue;'>스테로이드와 다른 면역억제제를 함께 사용</span>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종 환자의 한 쪽 눈이 반흔 때문에 심한 시력 저하가 있고 다른 눈에 초기 병변들이 보일 때 스테로이드와 함께 다른 면역억제제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눈의 시력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 예후 및 합병증 == 임상 경과는 만성적이며 재발을 자주 한다.
광범위 망막하 섬유증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광범위 망막하 섬유증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