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굴절 부등 약시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굴절 부등 약시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굴절 부등 약시 (anisometropic amblyopia)''' 는 두 눈의 중심와에 같은 물체의 상이 맺혀지기는 하지만 굴절력이 서로 달라 한 눈에 맺히는 상이 선명하지 않아서 망막간의 상호 견제와 정확한 상에 의한 시자극의 결핍으로 시력이 발달하지 못하는 경우이다<ref>Von Noorden GK. Classification of amblyopia. ''AJO''. 1967 Feb;63(2):238-44. [https://pubmed.ncbi.nlm.nih.gov/6066862/ 연결]</ref>. == 굴절 부등의 정의 == * 원시, 근시성 굴절 부등 : 원시 또는 근시 구면 렌즈 차이 > 1.0 D * 난시성 굴절 부등 : 난시 차이 > 1.5 D * 혼합 굴절 부등 : 두 조건에 모두 해당하는 경우 == 약시의 발생 == 굴절 부등 근시의 경우 근시가 더 심한 눈은 근거리를 볼 때 사용하고 근시가 덜 심한 눈은 먼 곳을 볼 때 사용하여 굴절 부등 원시보다 약시의 발생률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김지혜 등, 3D 이상의 차이를 보인 근시 부등시 환자에서 굴절 교정 정도에 따른 근시 진행 양상, ''JKOS'' 2018;59(2):164-16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0026 연결]</ref>. 두 눈이 원시인 경우 원시가 약한 쪽 중심 오목에 선명하게 초점이 맺히면, 더 심한 원시쪽 중심 오목은 깨끗한 상을 만들려는 조절 노력 자극이 없으므로 항상 깨끗하고 선명한 상을 받지 못하게 된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굴절 부등 약시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굴절 부등 약시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