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긴장 눈모음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긴장 눈모음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휴식, 안정 상태에서 눈의 해부학적 위치는 약간의 눈벌림 상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깨어있을 때 눈의 생리적 위치는 이보다 더 눈모음 상태이다. 이렇게 휴식 상태의 눈위치에서 깨어있는 상태의 눈 위치로 변화시키는 운동을 '''긴장 눈모음 (tonic convergence)'''{{사시}} 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 기전 == 긴장 눈모음은 외안근의 긴장도로부터 얻어진다. 긴장 눈모음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아니면 단지 이론의 산물인지 논란이 많다. 그러나 비조절 눈모음 과다 내사시, 즉 근거리 내사시각이 원거리 내사시각보다 크고, 조절 눈모음비 (AC/A비) 는 정상이거나 낮은 내사시는 단지 과다한 긴장 눈모음의 존재에 의해서만 설명될 수 있다<ref>von Noorden GK et al. Efficacy of bifocals in the treatment of accommodative ET. ''AJO''. 1978 Jun;85(6):830-4. [https://pubmed.ncbi.nlm.nih.gov/677210/ 연결]</ref>. 또 여러 번 수술해도 계속 재발되는 내사시 역시 긴장 눈모음의 과다로 설명할 수 있다<ref>von Noorden GK et al. Recurrent esotropia.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88 Nov-Dec;25(6):275-80; discussion 279-80. [https://pubmed.ncbi.nlm.nih.gov/24880180/ 연결]</ref>. 그러므로 임상적으로 긴장 눈몽므은 유용하고 필요한 개념이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사시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긴장 눈모음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긴장 눈모음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