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눈감기근 절제술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눈감기근 절제술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눈감기근 절제술 (eyelid protractor myectomy)</b> 은 [[본태 눈꺼풀 연축]]을 일으키는 눈감기근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 분류 == 보툴리눔 독소 주사 2주 후 눈둘레근의 힘을 측정하여 약해졌으면 제한 근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으며, 힘이 약해지지 않았으면 확대 근절제술이 더 효과적이다. * 제한 근절제술 (limited myectomy) : 위, 아랫눈꺼풀의 눈꺼풀판앞, 안와사이막앞, 그리고 안와 눈둘레근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 확대 근절제술 (extended myectomy) : [[눈썹 주름근]]과 [[눈살근]]까지 포함하여 모든 눈감기근을 제거하는 수술 방법이다. 눈꺼풀선 절개 후 위쪽으로 계속 박리하여 눈썹 주름근과 눈살근의 가쪽까지 도달할 수 있으나 이 근육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눈썹위 절개가 더 효과적이다. 하지만 눈썹위 절개는 누썹 위에 흉이 생기므로 관상 절개를 하기도 한다. == 접근 경로 == * 눈꺼풀선 절개 * 눈썹위 절개 * 관상 절개 == 합병증 == * 안와 출혈 : 예방하기 위해 수술 후 24~72시간 정도는 압박 붕대를 하고 시력을 관찰하기 위해 눈은 안대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 피부 괴사 : 어느 절개법을 이용하든지 눈꺼풀 피부의 진피층 아래에 있는 혈관 얼기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여 피부가 괴사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 이마 감각 이상 : 가쪽 눈썹 주름근을 제거할 때 안와위 신경혈관 다발이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여야 하나 눈썹 주름근을 완전히 제거하면 이마 부위의 감각 이상은 피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도르래위 신경혈관 다발의 손상도 흔히 발생한다. 1년 이상 경과하면 회복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 노출 각막병증 : 눈을 감는 근육들을 절제하므로 수술 후 토끼눈과 각막 노출이 발생할 수 있으며 눈꺼풀이 눈으로부터 벌어져 눈물이 눈을 고루 적시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 고르지 않은 눈꺼풀 피부 : 피하 조직의 흉 형성 및 림프 부종이 지속됨으로 인해 피부 표면이 고르지 않게 될 수 있다. 림프 부종은 빠지는데 1년 이상 소요되기도 한다. * 연축의 재발 : 절제된 눈둘레근은 재생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눈꺼풀 연축은 재발될 수 있다. 약 75%에서 증상이 재발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이 때에는 보툴리눔 독소 주사를 다시 고려해야 하는데 피하 조직의 흉으로 인해 독소의 확산이 잘 되지 않으며 주사 때 통증이 더 심하므로 좀 더 천천히 주입하여야 한다. 눈꺼풀 수술 후 보툴리눔 독소 주사 치료의 효과 지속 기간이 더 길어졌다는 보고도 있다. {{참고|성형안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눈감기근 절제술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눈감기근 절제술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