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다형 샘종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다형 샘종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눈물샘의 <b>다형 샘종 (pleomorphic adenoma)</b> 은 양성 혼합 종양(benign mixed tumor)이다. == 역학 == 전체 눈물샘 종양의 25%, 상피 종양의 50%를 차지한다. 20~50대에 발생하며, 40대에 가장 많고, 남자에서 조금 더 많이 발생한다. == 증상 == <span style='color:blue;'>통증이나 염증 반응 없이 서서히 발생하는 종괴로 안구의 내하측 편위와 함께 안구 돌출</span>, 윗눈꺼풀 부종 등이 발생한다. 증상은 대개 1년 이상에 걸쳐 나타난다. == 조직병리 == 특징적으로 상피 그리고 중간엽 분화를 모두 보이며, 특히 낭성 변화, 상피 화생, 눈물샘의 석회화, 뼈조직 형성 등이 관찰된다. == 검사 및 진단 == * CT : <span style='color:blue;'>경계가 분명한 원형 혹은 난원형의 종괴</span>가 관찰되며, 종괴에 의해서 안구가 눌리는 소견이 보인다. 눈물샘 오목이 커지고, 종양의 크기가 큰 경우 침윤 소견 없이 국소 압박으로 인한 골미란이 관찰될 수 있다. * MRI : T1 강조 영상에서 낮은 신호 강도를 보이는 경계가 분명한 종괴가 상외측 안와에서 관찰되며, T2 강조 영상에서는 낮은 신호 강도를 보인다. gadolinium 조영 증강 후 중간 정도의 신호 {{외부 사진 |주소=https://prod-images-static.radiopaedia.org/images/375953/cc897e3958db6932f2202f79beb2db_big_gallery.jpg |세로=350 |제목=눈물샘 다형 샘종의 MRI T1 사진 |출처=Radiopaedia.org |링크=https://radiopaedia.org/cases/pleomorphic-adenoma-of-the-lacrimal-gland }} == 수술적 치료 == 생검 없이 가쪽 안와 절개술을 통하여 <span style='color:blue;'>종양의 거짓 껍질이 손상되지 않도록 완전 절제</span>하여야 한다. == 예후 및 합병증 == 완전 절제가 되지 않으면 약 30%에서 종양이 재발하고, 이는 30년에 걸쳐 약 20% 악성으로 변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외부 사진
(
원본 보기
)
다형 샘종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다형 샘종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