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시신경 유두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시신경 유두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시신경 유두 (optic disc) == 크기 및 면적 == 섬유의 수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과 없다는 주장으로 나누어져 있다. 시신경 유두의 면적이 증가하면 증가된 면적의 최고 50%에 해당되는 신경 조직이 증가하므로, 면적이 넓은 시신경 유두가 좁은 시신경 유두보다 신경 섬유를 더 많이 분포하고 있다고 주장하더라도 유두 함몰비(C/D ratio)가 클 수 밖에 없다고 본다.<br />정상 시신경 유두의 직경은 1.18~1.75mm 정도로 보고되었고, 다른 연구에서는 짧은 직경이 0.85~2.43mm, 긴 직경이 1.21~2.86mm로 보고되었다. 시신경 유두 면적은 0.68~4.42mm²로 평균 2.42~2.79mm² 정도로 알려져 있다. 양안의 유두 크기 차이는 99%에서 1mm² 이내이다. 시신경 유두의 수직 직경이 수평 직경보다 크며, 남성에 비하여 여성의 시신경 유두는 수평 방향으로 더 좁다. 백인에 비하여 흑인의 시신경 유두는 보다 더 크고, 난원형이며 유두 함몰비가 크다. == 분류 == * 표층 신경섬유층 (surface nerve fiber layer) : 축삭이 조직 부피의 90%를 차지한다. * 사상판전층 (prelaminar layer) : 망막의 심층과 맥락막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으며, 여기서 신경 섬유들이 후방으로 향하여 90˚ 회전한다. * 사상판층 (laminar layer) : 직경 20~250㎛의 세공이 있어 신경 섬유가 통과하고 있다. 이 세공은 섬유성 중격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다. 별아교세포가 섬유성 조직을 == 신경 섬유 == 시신경 유두에서 신경 섬유의 평균 수는 약 100만개이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매년 최고 약 5,000개씩 감소한다. 이러한 감소로 인해 녹내장 환자에서 치료가 성공적이더라도 정신 신체학적 검사 결과가 악화될 수도 있다. 신경 섬유의 직경은 0.1~8.3㎛으로 직경은 신경절 세포의 크기와 관련이 있으며, 시신경 유두의 귀쪽과 중심쪽이 코쪽과 주변보다 작다. == 혈액 공급 == * 신경섬유층 : 모세혈관은 망막 동맥의 분지로부터 기원하며 방사모양 유두주위 모세혈관과 연결된다. [[섬모체망막 동맥]]에서도 모세혈관과 연결될 수 있다. * 사상판전층 : 짧은 뒤섬모체 동맥의 분지, Haller and Zinn circle의 분지, 맥락막 소동맥, 가끔 섬모체망막 동맥의 곁통로로부터 혈관을 받는다. * 사상판의 중격 : 뒤섬모체 동맥의 구심성 분지로부터 혈관을 받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중격의 동맥 분지가 Ha
시신경 유두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시신경 유두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