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실리콘관 삽입술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실리콘관 삽입술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코눈물관 폐쇄]] 환자에서 시행하는 '''실리콘관 삽입술 (silicone tube intubation, STI)'''{{성형안과}} 은 1968년 Keith<ref>Keith CG. Intubation of the lacrimal passages. ''AJO''. 1968 Jan;65(1):70-4. [https://pubmed.ncbi.nlm.nih.gov/5635571/ 연결]</ref>가 처음 보고하였다. == 적응증 == * 성인의 [[코눈물관 폐쇄]]<ref>Fulcher T et al. Nasolacrimal intubation in adults. ''BJO''. 1998 Sep;82(9):1039-41. [https://pubmed.ncbi.nlm.nih.gov/9893595/ 연결]</ref> : 문헌에 따라 83.3~87.9%로 다양한 성공률이 보고되고 있다. * [[눈물소관 폐쇄]]<ref>Delcoigne C et al. Probing and silicone intubation of the lacrimal system in adults. ''Bull Soc Belge Ophtalmol''. 1994;254:63-5. [https://pubmed.ncbi.nlm.nih.gov/7493126/ 연결]</ref> * [[선천 코눈물관 폐쇄]] :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ref>Beigi B et al. Results of Crawford tube intubation in children. ''Acta Ophthalmol (Copenh)''. 1993 Jun;71(3):405-7. [https://pubmed.ncbi.nlm.nih.gov/8362644/ 연결]</ref>. * 외상 눈물소관 열상<ref>Liang X et al. A modified bicanalicular intubation procedure to repair canalicular lacerations using silicone tubes. ''Eye (Lond)''. 2012 Dec;26(12):1542-7. [https://pubmed.ncbi.nlm.nih.gov/23060024/ 연결]</ref> == 수술 방법 == # 수술 30분 전 1:100,000 에피네프린 용액을 적신 거즈를 하비도에 충전시켜 비점막을 수축시킨다. # #00 크기의 Bowman [[눈물길 더듬자 검사]]를 시행하여 눈물길의 저항 부위를 확인한다. # 0.64 mm 굵기의 한 개 실리콘관(canaliculus intubtion set, Beaver-Visitec, Inc., Waltham, MA, USA) 을 위쪽 눈물소관으로 삽입한다. # 비강 내시경을 이용하여 실리콘관이 아래콧길로 나온 것을 확인하고 집게 (alligator forceps) 로 비강 밖으로 견인한다. # 같은 방법으로 아래쪽 눈물소관으로도 실리콘관을 삽입한다. # 실리콘관을 잡아당긴 다음 6-0 nylon을 이용하여 두 개의 실리콘관을 결찰한 후 2 mm 여분을 남기고 잘라낸다. # 수술 후에는 levofloxacin hydrate 와 0.5% loteprednol etabonate 점안액을 하루 4번 점안한다. == 실리콘관의 종류 == [[코눈물관 스텐트]] 참고 == 장점 == 술기가 복잡하고 전신 마취를 요하는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 (DCR) 에 비해 * 눈물점의 손상이나 각결막의 자극 정도가 적고, 눈물소관에 대한 기계적 마찰에 따른 손상이 적다<ref>Snead JW et al. Effects of the silicone tube on the canaliculus : an animal experiment. ''Ophthalmology''. 1980 Oct;87(10):1031-6. [https://pubmed.ncbi.nlm.nih.gov/7243196/ 연결]</ref>. * 비점막을 보호한다. * 국소 마취로 시술이 가능하고 수술 후 회복이 빨라 전신 상태가 좋지 않은 환자에게도 시행 가능하다. == 단점 == * 성인에서는 수술 후 초기의 치료 효과가 좋으나 장기간 관찰하였을 때 그 효과가 점점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권용혁 외, 불완전 코눈물관 폐쇄가 있는 성인 환자에서 실리콘관 삽입술의 장기 효과, ''JKOS'' 2008;49(2):190-194.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870 연결]</ref>. * 삽입 시 코점막이나 아래코선반 등에 손상을 주거나 거짓 눈물길을 형성하여 눈물길 재협착을 유발할 수 있다<ref name=r9>Anderson RL et al. Indications, complications and results w silicone stents. ''Ophthalmology''. 1979 Aug;86(8):1474-87. [https://pubmed.ncbi.nlm.nih.gov/542249/ 연결]</ref><ref>Lauring L. Silicone intubation of the lacrimal system : pitfalls, problems and complications. ''Ann Ophthalmol''. 1976 Apr;8(4):489-98. [https://pubmed.ncbi.nlm.nih.gov/1267321/ 연결]</ref>. == 합병증 == 실리콘관 탈출, 눈물점 미란, 육아종 형성, 각막 미란 등이 발생할 수 있다<ref name=r9 />. === 실리콘관 탈출 ===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이며, Brookes 등<ref>Brookes JL et al. Endoscopic endonasal management of prolapsed silicone tubes after DCR. ''Ophthalmology''. 1999 Nov;106(11):2101-5. [https://pubmed.ncbi.nlm.nih.gov/10571344/ 연결]</ref>이 여러 연구들을 종합한 바에 따르면 STI 후에는 약 17.5%,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DCR]] 후에는 약 14%의 실리콘관 탈출이 발생할 정도로 흔하다고 하였다. 또한 탈출이 발생하면 미용상으로 좋지 않을 뿐 아니라 각막과 결막의 이물감, 결막염 그리고 각막 미란을 야기한다. 14 예방하기 위해 실리콘 스펀지를 작게 잘라 실리콘관을 스펀지에 통과시켜 묶어주거나<ref>이태수 등, 실리콘관의 돌출 및 누소관 열창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변형된 관 삽입술, ''JKOS'' c 2009;50(7):984-98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444 연결]</ref>, 실리콘관 끝을 두 번 묶어주기도 한다<ref>Lekskul A et al. Simple technique for silicone intubation in congenital NLDO. ''J Med Assoc Thai''. 2004 Sep;87(9):1082-6. [https://pubmed.ncbi.nlm.nih.gov/15516010/ 연결]</ref>. 하지만 이런 방법들은 코 안쪽에 덩어리를 형성하여 탈출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이로 인한 이물감, 코막힘 등의 불편감이 발생한다. Yazici 등<ref>Sabermoghaddam AA et al. Preventing silicone tube extrusion after NLD intubation in children. ''J Ophthalmic Vis Res''. 2010 Oct;5(4):280-3. [https://pubmed.ncbi.nlm.nih.gov/22737375/ 연결]</ref>과 박 등<ref>박민수 등, 성인 눈물길 실리콘관 삽입술에서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실리콘관의 코벽 고정 효과, ''JKOS'' 2022;63(7):578-583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635 연결]</ref>은 실리콘관의 조기 탈출을 예방하고, 삽입 기간 동안 코 속의 불편감을 줄일 수 있도록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해 실리콘관 끝을 코벽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성형안과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실리콘관 삽입술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실리콘관 삽입술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