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아르길 로버트슨 동공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아르길 로버트슨 동공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아르길 로버트슨 동공 (Argyll Robertson pupil)'''{{신경안과}} 은 Argyll Robertson이 처음 보고했는데,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망막이 빛에 민감하다. * 동공이 빛에 반응하지 않는다. * 조절과 눈모음 때의 축동은 정상이다. * [[아트로핀]]에 잘 반응하지 않는다. * 동공이 작다. == 원인 == 우선 신경매독을 생각해야 하며, 그 외에 당뇨병, 만성 알코올 중독도 원인이 될 수 있다. == 병태 생리 == 앞쪽 중뇌의 실비우스 수도와 제 3뇌실 후부의 광범위하고 심한 병변으로 덮개앞핵에서 EW핵으로 가는 덮개앞-동안신경 대광반사 신경 섬유가 손상되어 대광 반사가 일어나지 못하게 된다. 이 부위의 병변으로 대광 반사 경로뿐만 아니라 EW핵으로 가는 핵상 억제 경로도 손상되어 중추 억제가 없어지고 대광 반사 경로가 손상되어 EW핵의 자연 발화가 증가하므로 축동이 오게 된다. 근거리 주시 떄 오는 눈모음, 축동과 조절은 대뇌의 브로드만 영역 19 및 22로부터 오며, 내부 피질덮개로를 따라 대광반사 경로보다 배쪽을 거쳐 동안신경핵으로 가기 때문에 손상을 받지 않아서 근접반사 때의 축동은 정상이다. == 임상 소견 == 동공은 작고 어두운 곳에서도 커지지 않고, 홍채 손상 때문에 둥글지 않고 불규칙한 모양이며, 근접 반사는 정상이나 대광 반사는 없다. 이런 증상들은 모두 동시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진행한다. 양측성이며 정신감각 자극에 의해 산동된다. == 예후 및 합병증 == 한 번 발생하면 회복되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 홍채 위축이 생긴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신경안과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아르길 로버트슨 동공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아르길 로버트슨 동공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