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인도시아닌 그린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인도시아닌 그린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인도시아닌 그린 (indocyanine green; ICG)'''{{망막}} == 광학적 특징 == ICG 색소는 혈중에서 <span style='color:blue;'>근적외선 파장</span>의 광선에 자극 받으면 더 긴 파장의 형광을 발산한다. 특징적으로 ICG 색소의 적외선 영역의 긴 파장 형광은 플루레신의 가시광선 영역의 짧은 파장 형광이 통과하지 못하는 정상 황반 색소, 망막 색소상피층, 출혈, 장액 삼출물 등을 투과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안저 카메라 또는 [[동초점 주사 레이저 검안경]]으로 맥락막 순환계를 조영할 수 있다. == 높은 단백 결합성 == 98%가 혈장 단백과 빨리 결합하고, 분자량이 커서 맥락막 모세혈관에서 누출이 적고 느리며, 확산도 덜 되어 맥락막 혈관이나 관련된 병변을 방해하지 않고 잘 보여준다. 하지만 ICG 색소도 주사 후 10~15분 정도가 되면 정상적으로 소량 누출되어 맥락막 간질 조직을 염색하고 약하고 희뿌연 배경 형광을 형성한다. ICG 색소는 플루레신과 달리 재순환이 거의 없이 빨리 배출되지만, 염색된 색소는 24시간 후에도 남아있을 수 있다. 간에서 흡수되어 담즙으로 배출되며, 장의 재흡수나 콩팥 배출은 없으며, 태반을 통과하지 않는다. == 금기 == 5% 요오드를 함유하므로 요오드 알레르기에 금기이고, 간에서 제거되므로 간 질환 시 피하는 것이 좋다. == 부작용 및 합병증 == [[플루레신]] 색소에 비해 독성이 적고, 부작용이 적어 비교적 안전하다. 주사 시 오심, 구토, 소양감 등의 비교적 가벼운 부작용이 생길 수 있지만, 드물게 과민성 쇼크가 생길 수는 있다. 역시 부작용에 대비한 적절한 응급 장비를 항상 준비한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인도시아닌 그린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인도시아닌 그린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